내용이 너무 길어서 죄송해요ㅠㅠㅠ 늘 고생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새내기 필수! 대학생활 완전정복 ssap가넝한 대학생활에 대한 모든 것
개강하기 전 꼭 봐야하는 대학생활에 대한 모든 것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제가 얼마전에 인스타에서 질문을 받았던 대학생활 큐앤에이를 찍어보려고 하는데요.
제가 질문을 정리를 쭉 해왔어요. 보이시려나 모르겠네?
이렇게 종류별로 정리를 해가지고 왔거든요.
근데 전 질문이 별로 없을거라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진짜 많이 질문을 주시더라고요.
대부분 겹치는 내용이 많아서, 제가 좀 정리를 해서 말씀을 드려볼게요.
수강신청 잘 하는 방법! 이것도 진짜 많이 물어보시던데
사실 꿀팁이라고 할 것 까진 없고, 이건 거의 운이 크게 작용하는 것 같긴 해요.
저도 수강신청 몇 번 실패해본 사람으로서, 얼마나 내가 준비가 되어있느냐가 중요하거든요.
이건 학교마다 다를 수 있는데, 저희 학교 같은 경우에는 사파리보단 크롬 사용을 권장한다곤 하던데
사실 제가 생각했을 땐 사파리 쓰든 크롬 쓰든 이런 거 상관없이 손 빠른 사람이 이겨요..
그리고 학교마다 서버가 다르기 때문에..
그냥 기본적인 거 말씀을 드리면,
저는 네이버 시계, 휴대폰 시계, 노트북 시계 이렇게 세 개를 한꺼번에 보거든요.
그게 가끔씩 1초, 2초 이렇게 차이가 나는 게 있는데
그걸 보면서 제일 먼저 바뀌는 시계의 시간에 맞춰서 수강신청 딱 들어가서 하고요.
그리고 약간 전략적으로 하는 게 중요해요.
전공수업이 있는데 그건 내 학년에 들어야하는 수업이면 전공은 전 좀 뒤로 미뤄놓고
빡센 교양, 그런 걸 먼저 신청을 하거든요.
그런 교양은 다른 과 학생들이랑도 경쟁을 해야되기 때문에 그런 걸 우선으로 먼저 신청을 하고
전공은 사실 내가 그 학년이 들어야 되는 학년이면 ‘빌넣’이라고 하잖아요. 빌어서 넣기!
그렇게 빌면 넣어주는 경우도 있거든요.
수강신청 하시기 전에 팝업 같은 거 잘 뜨는지 그런 것도 다 허용으로 바꿔놔야 하고.. 이런 것들?
에바님은 어떻게 학업과 일을 병행하고 있는지도 질문해주셨는데,
전 유튜브 대학교 입학하고 1학년 여름방학 때부터 시작을 한 거거든요.
그래서 거의 대학생활 하는 내내 학교를 다니면서 유튜브를 하고 있는데,
뭐든지 그때그때 해 놓으면 힘들지 않아요! 내가 힘든 이유는 미루기 때문이에요.
과제 같은 거 미리 하거나, 수업 했던 거 복습하거나, 영상 같은 것도 미리 미리 찍어놓고
편집을 그때그때 해놓으면 사실 밀릴 일은 없거든요.
막 시험기간에 엄청 학점 많이 듣고 이럴 때 조금 힘들긴 했는데,
그래도 이제 원래 내가 해야 되는 일이니까 이거는. 제가 하기로 선택한거고.
진짜 죽을 것 같다! 까진 아니었어요.
몰라요. 또 시간 지나서 이렇게 얘기할 수 있는 것 같기도 하고.
그리고 학점 관리 잘 하는 꿀팁, 성적장학금 받는 방법 이런 것도 많이 물어보셨는데
유튜브랑 같이 병행을 히고 있잖아요. 또 실습이 점점 많아지면 이게 체력적으로도 힘이 딸리더라고요.
그런 것 때문에 실습 많이 들을 때 학점 관리를 사실 잘 하진 못했어요.
좀 저학년 때는 그래도 전공 과목도 실습 많이 없고, 거의 이론 위주로
교양도 내가 듣고싶은 거 신청해서 들을 수 있었기 때문에
그 때는 성적장학금도 받고 그랬거든요. 근데 공부법이라고는 딱히 없어요.
사실 우리나라 입시를 겪어본 그런 사람들이라면 고등학교 때의 반 정도만 해도 과탑 먹을걸요?
그니까 대학교 와도 열심히 하는 사람들은 진짜 열심히 하는데,
그렇지 않은 사람들도 있거든요. 대학에도! 고등학교도 그렇잖아요.
그래서 어딜 가든지 내가 있는 그 곳에서 나만 열심히 하면 전 잘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대학교는 시간 확보가 정말정말 중요하기 때문에 과제 같은 거 나오면
무조건 미리미리 해두시는 게 좋긴 해요.
너무 당연한 얘기지만, 딱 과제 교수님이 주신 그 날에 바로 끝낸다는 생각으로 미리 해놓고
제출하기 전에 한 3번 정도 더 체크하면서 읽어보고 제출하면 그렇게 학점을 못 받지는 않을 거예요, 아마!
미리 과제같은 거 해놓으면 시험기간에 그 시간들이 확보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시험공부 하는 데 활용을 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생각보다 어떻게 보면 불친절(?)한 교수님들이 좀 많이 계실 수도 있거든요.
이거 시험에 나오니까 적어두라고 하시는 교수님들도 계신데, 안 그러는 교수님들도 많이 계셔서
수업시간에는 최대한 그냥 놓치지 않고
교수님이 수업하시는 내용들 잘 귀담아 들을 필요는 있는 것 같아요.
그리고 이건 또 학교마다 다를 수는 있는데 성적장학금 같은 경우에도
무조건 내가 평점이 잘 나왔다고 해서 주는 게 아닐 수도 있거든요.
평점이 잘 나와도 내가 신청한 학점수가 좀 적다, 이러면 신청한 학점수가 더 많은데
나보다 평점이 조금 낮은 사람한테 장학금이 갈 수도 있는 거고요.
많은 학점을 듣고 평점을 잘 받아도 전공의 비중이 너무 적다,
그러면 다른 사람이 받을 수도 있는 거거든요.
그래서 일단 학점 많이 듣고, 전공 위주로 듣고,
평점이 좋은 사람한테 우선순위가 간다고 생각하시면 편할 것 같아요. 뭐 학교마다 다르겠지만!
또 요즘에는 절대평가도 많이 하잖아요, 비대면 수업 하면서.
그래서 그런 것들 잘 노려봐도 좋을 것 같아요.
절대평가 하는 수업들은 내가 어느 기준에만 미치면
성적을 잘 받을 수 있는 확률이 상대평가 보다는 크기 때문에.
빡센 시간표에 알바까지 잘 해낼 수 있을지 걱정이라고 하셨는데
전 오히려 고정적으로 하는 일이 있으면,
이 일을 하기 위해서 내가 시간관리를 엄청 잘 해야된단 말이에요.
저는 충분히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본인의 한계는 본인이 가장 잘 알잖아요.
전 내가 100을 할 수 있는데 100을 다 하면 나중에 번아웃이 온다고 생각하거든요.
전 항상 내가 100을 할 수 있으면 80 정도 까지만 해요.
이게 어떻게 들릴지는 모르겠지만, 80이 제가 할 수 있는 최대의 효율이라고 생각하고
그렇게 했을 때 결과가 잘 나오면 너무 좋은거고, 결과가 잘 안 나오더라도 크게 실망하지 않고
그 다음으로 빨리 넘어갈 수 있는 힘이 생기는 것 같더라고요.
전 제가 들일 수 있는 최소한의 노력으로 최대의 효율을 추구하는 편이라서 그렇게 하는데
또 나는 내가 100을 할 수 있으면 120의 공을 들이는 게 성과가 좋다 하시면 그렇게 하셔도 상관은 없겠죠?
교환학생이나 어학연수 가 볼 생각은 안 하셨나요?
2학년 올라가는 겨울, 1월달 이 때 있죠?
그 때 제가 원래 교환학생 신청을 했었는데 붙은 거예요!
그게 프랑스 파리에 있는 대학교였고, 그 학교에서 입학허가서도 받고
나갈때까지 한달정도 남았을 때, 그 때 파리에서 엄청 큰 테러가 일어난 거예요.
그래서 못 갔거든요.
근데 그런 게 있어요. 교환학생을 신청해서 붙었는데 내가 안 가겠다고 해서 안 가잖아요?
그럼 일정기간 동안 교환학생 신청을 할 수 없게 불이익이 주어지는 게 있거든요.
만약 그 때 교환학생을 갔다면, 지금 유튜브를 안 하고 있을 수도 있겠죠?
근데 좀 아깝긴 해요. (그 이후에) 가볼걸 하는 건 있었는데
그게 또 신청할 수 있는 기간 같은 게 정해져 있거든요.
뭐 막학기에는 신청 못 한다 이런 것도 있고.. 성적기준이나 어학기준 같은 것들도 있어서
그런 것들 잘 찾아보시고, 전 한번쯤은 갔다 오는 것도 나쁘진 않다고 생각해요.
만나는 사람들도 달라지고 세상을 보는 견해가 좀 달라지는 것 같더라고요.
갔다 온 친구들 얘기를 들어보면!
고등학교 때 처럼 공부 경쟁이 있는지?
어느정도 있는 것 같아요. 특히 1학년 때 그게 좀 있는 것 같고..
(고학년이 될수록) 훌륭한 학점을 유지하는 게 갈수록 어려워지긴 하거든요. 전공이 많아질수록!
그래서 갈수록 견제를 하는 건 줄어들었던 것 같아요.
그래도 성적장학금 노리거나 과탑같은 거 노리는 친구들 있으면
서로 은근히 견제 아닌 견제를 조금씩은 하는 것 같아요.
근데 그런 게 다 무슨 소용이겠어요. 그냥 내가 잘 하면 되는거지.
레포트나 보고서 잘 쓰는 방법? 자료조사 잘 하는 방법!
이건 근데 확실히 많이 써봐야 하는 것 같아요.
근거자료가 많이 탄탄하게 뒷받침이 되면 좋겠죠?
제가 많이 썼던 사이트가 ‘RISS’라고, 논문 같은 거, 자료 같은 거 찾아볼 수 있는 사이트 하나 있고요.
그리고 국가전자도서관! 여기서도 학위논문이나 문헌 같은 것들 많이 볼 수 있거든요.
해외 논문 같은 것들도 많이 올라와있어서 이런 데도 찾아봤고,
전 이렇게 두 가지 사이트를 크게 제일 많이 썼던 것 같아요.
그리고 이것 뿐만 아니라 기사 같은 것도 전 많이 서치를 했고,
이런 자료들 쓸 때 출처 표기하는 방법이 또 다 따로 있거든요.
그런 건 검색하시면 엄청 정리 잘 된 거 많이 나오니까 그것들 보고 하시면 되겠습니다.
자료도 진짜 참고용으로만 들어가야지, 너무 이 자료의 내용을 다 배끼다시피 넣으면
요즘엔 또 표절검사 다 하기 때문에, 내 생각을 최대한 많이 넣는 게 좋고요.
그러려면 그거에 대해서 고민을 많이 해봐야겠죠?
어떤 주제가 있으면 그 주제에 대해서 내 생각을 정리를 한 번 해보는 과정이 필요할 것 같고요.
그래서 어느정도 나의 주장이 확립이 되면 그거에 관련된,
나의 주장을 뒷받침 해줄 수 있는 근거들을 찾는 데 시간을 많이 보냈고
그리고 그런 논문 같은 거 읽으면서도
‘아, 이런 시점에서 볼 수도 있겠다’ 하는 것들 분명히 생기거든요.
그런 것들을 ‘이 논문의 필자는 이런식으로 자료들을 활용해서 이런 주장을 했고,
난 이 부분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한다’. 결국에는 내 생각이 많이 들어가는 게 중요한 것 같아요.
그리고 사실 교수님들 과제 내주시는 것 보면, 그 내주신 의도가 어떤 건지
딱 정해져 있는 것들이 사실 조금 있거든요.
정해진 결론까진 아니더라도 이 과제를 내줌으로써
학생들이 어떤 거에 대해서 고민해봤으면 좋겠다든지,
아니면 이런 부분에 대해서 다양한 견해를 내놓을 수 있어야 한다든지
분명히 수업시간에 수업을 듣거나 하면
교수님이 이 과제를 통해서 학생한테 바라는 게 뭔지가 딱 보여요!
그래서 그런 부분들을 잘 꼬집을 수 있는 내용을 넣는 게 중요하긴 하겠죠?
그런 것들을 잘 해주면 좋은 점수를 받을 확률이 높아진다.
고등학교 까지 교육을 받고 대학교 온 사람들이
기본적으로 배우는 글쓰기의 맥락이나 순서같은 게 있잖아요.
그런 것들을 그냥 잘 지키면 돼요. 사실 크게 다른 것도 없어요. 대학교 레포트라고 해서!
1교시 수업 추천하는지.
1교시면 보통 9시, 이럴 때 시작을 하잖아요.
근데 저는…
뭐 사람마다 다를 수는 있겠지만, 내가 진짜 제대로 된 대학교 라이프를 경험을 해보고 싶다하면
1교시도 괜찮을 것 같고요.
일단 오전 수업을 들으면 오전을 잠으로 날려버리는 일은 (아마..) 없겠죠?
시간 관리를 내가 좀 빡빡하게 잘 하고 싶다 하시면 수업을 오전에 몰아넣고
오후 시간에는 과제 같은 거 하고 내가 하고 싶은 일 하고,
그렇게 전 시간을 보내는 걸 좀 더 선호했던 것 같아요.
사실 오전 수업 안 듣는다고 해서 그 오전 시간 알차게 쓰는 사람들 전 거의 못 봤고요. 사실..
뭐 알바를 한다거나 이런 게 아닌 이상은 그냥 거의 다 잠으로 보내더라고요.
그럴 바에는 그냥 오전 수업 듣고 그 오후 시간을 내가 잘 쓰는 게 낫지 않나..
우주공강 시간 잘 활용하는 방법!
전 그렇게 했어요. 그날그날 교수님이 내주신 과제를 우주공강 시간에 다 한다는 생각을 하고
학교에서 다 끝내는 식으로 했고요. 만약 과제가 없다! 하면 집에 가서 편집을 한다거나..
전 자취를 해서 학교 근처에 살았거든요. 중간에 가서 밥 먹고 오기도 하고
그게 안 되면 노트북에 (할 거) 담아서 들고가서,
학교 카페나 이런 데 가서 중간에 또 내 할 일 하고 이렇게 시간을 보낸 것 같아요.
근데 맨날 그렇게 하진 않았고, 가끔 친구랑 중간에 나가서
밥 맛있는 거 먹고 좀 놀다 오기도 했고요. 시간 좀 널널하고 그럴 때는!
우주공강 보내는 방법은 굉장히 많아요! 항상 찾으면 할 일들은 생기기 때문에,
내가 진짜 할 일이 없다 그러면 그 시간에 다른 공부를 해도 좋고요.
아니면 내가 하고 싶은 대외활동, 알바 이런 걸 좀 알아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아요.
교수님마다 다르겠지만 평균적으로 수업하는 시간 얼마나 되는지?
이것도 학교마다 조금씩 다를 순 있는데, 보통 많아도 3학점 정도로 이루어진 수업들이 많은데
그럼 그 학점이 그 수업 시간이라고 보시면 편할 것 같아요!
보통 2학점은 2시간, 3학점은 3시간 이런 식으로 산출을 많이 하긴 하는데 이게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고요.
근데 보통 대학교 수업들은 한 번 수업하면 2-3시간은 기본으로 하는 것 같아요.
제가 봤던 것 중에 좀 긴 수업은 진짜 전공, 프로젝트 하는 수업 이런 거 6시간 짜리도 있고 한데
그걸 꽉 채워서 수업을 하시는 교수님들도 계시고요. 또 안 그런 분들도 계셔서
이건 진짜 교수님따라 케바케! 달라요.
시험공부 하는 방법?
그냥 저는 앞에 얘기했듯이, 과제는 미리 다 해놓고 그냥 수업시간에 교수님이 강조하셨던 거,
반복해서 얘기 하셨던 거, 그 단락의 배웠던 거에서 큰 맥이라 그래야되나?
그런 것들에서 파생된 것들까지 공부했습니다.
그냥 고등하교 때 처럼 하시면 될 것 같아요.
그리고 보통 시험을 한 번 쳐보면, 중간, 기말 이렇게 치잖아요.
그럼 교수님의 스타일이라는 게 있거든요.
내가 그걸 진짜 전혀 파악을 못 하겠다 싶으면 교수님한테 끊임없이 질문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순 있어요.
교수님이랑 여러분, 친하게 지내세요! 교수님들 생각보다 그렇게 어려운 사람들 아니거든요.
질문 많이 하고 이런 거 싫어하시는 교수님들 잘 없거든요, 사실.
또 많이 물어보고 수업 열심히 듣고 하면 교수님도 사람인데 그런 학생들 얼마나 예쁘겠어요.
하나라도 더 알려주고 싶고 가르쳐주고 싶고 그렇지 않겠어요?
수업 들을 때 팁! 전 그게 제일 중요한 것 같아요.
첫 수업시간에 졸지 않고 처음부터 끝까지 좀 맑은 정신으로 깨어있는 거.
이게 은근히 어떤 수업을 들을 때 그 첫 시간을 어떻게 보내는지에 따라서
좀 전 그 한 학기가 결정이 되는 것 같더라고요.
처음부터 막 졸고 수업시간에 집중 안 하고 딴짓하고 이러면
그 수업시간에는 그 뒤로는 계속 그렇게 하게 되는 경우를 정말 많이 봤고,
저도 그런 적이 있었고 그렇기 때문에 아무리 지루하고 듣고 싶지 않은 수업이더라도
내가 첫 시간을 잘 보내보자! 하는 그 마음가짐이 진짜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뭐 이게 항상 완벽하게 정비례를 하는 건 아니지만, 내 자리가 교수님한테 가까울수록
내 성적도 좀 더 높은 스코어에 가까워진다는.. 저만의 그런 게(?) 있거든요.
앞자리 다들 피하고 싶어하잖아요. 그래서 다들 뒤에 앉고 하는데
내가 너무 앞자리는 부담스럽더라도 최소한 3번째 라인 안쪽으로는 많이 앉으려고 했던 것 같아요.
확실히 좀 앞에 앉아야 수업 집중도도 높아지고요.
좀 딴 짓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줄어들잖아요. 교수님이랑 가까우니까!
그래서 수업에 좀 더 집중하게 되는 것 같아요.
수강신청 실패하면 어떻게 하는지?
시간표를 먼저 짤 때, 플랜 c까지 짜놓는 게 가장 좋아요.
a안, b안, c안 이렇게 세 가지를 짜놓고 a 먼저 시도하고 실패하면 b, 그 다음 c
이런 식으로 대안을 항상 마련해 놓는 게 중요하고요.
만약에 이거 다 실패했다! 그러면 진짜 빠르게 교수님한테 메일을 써야돼요.
아주 정중하게, 하지만 정말 간절하게!
메일 형식 같은 것도 이제 막 대학교 입학한 친구들은 잘 모르는 경우도 많더라고요.
직장생활 하는 사람들도 메일 쓰는 거 잘 모르는 사람들도 많기 때문에
그냥 형식은 간단하게 이런 식으로만 적어서 보내셔도 될 것 같고요.
그리고 수강생이 너무 많지 않은 이상, 전공이라면 이렇게 빌면 웬만하면 넣어주십니다.
그래서 은근히 그런 빌넣이 잘 통할 때가 많다.
제일 좋았던, 의미있었던 수업은?
교양수업이 좀 기억에 남는 게 많은 것 같은데, 그 중에서도 ‘이미지메이킹’이라는 수업이 있었고요.
그리고 ‘여성학’ 수업을 제가 옛날에 들었어요.
이 두 가지가 좀 좋았던 게, 이미지메이킹은 사람들 앞에서 스피치 하는 거 이런 것도 하거든요.
퍼스널컬러 진단 이런 것도 하는데 말하기, 발표하는 거, 목소리 톤,
언제 어디서 끊어서 읽고 숨을 쉬어야 되는지 이런 것들을 가르쳐주세요. 교수님이!
그래서 전 그 수업 할 때 그런 것들 좀 처음으로 제대로 배워본 것 같고,
다른 사람 앞에서 발표하는 걸 연습할 수 있는 수업이라서
처음엔 조금 부담스러웠는데 나중에 다 듣고 나서는 굉장히 저한테 많은 걸 남겼던 수업이 됐고요.
여성학도 마찬가지로 저에게 다양한 시각을 제공해줬다 그래야되나?
똑같은 문제를 바라볼때도 이전에는 단편적으로 봤다면,
이 수업을 듣고 나서는 여러가지 시각으로 볼 수 있게 된 것 같아요. 어느정도는!
그래서 좀 더 인권이라든지 이런 사회문제 같은 데 관심을 더 가지게 되는 계기도 됐고.
팀플하는데 친한 애들끼리 이미 조가 짜여있는 상황에선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저도 이제 학교도 오래 다니고, 대학교 친구도 많이 없어가지고
웬만한 수업 다 혼자 듣고 아는 사람 하나도 없어요.
근데 이렇게 팀플을 간혹 교수님이 ‘너네 알아서 친한 애들끼리 조 짜서 와라’
이렇게 하는 경우도 종종 있거든요.
그럴 때는 내가 들어가고 싶은 조 있으면 그냥 그 사람한테 가서
‘저.. 혹시 같은 조 하실래요?’ 이렇게 그냥 말 해도 돼요.
아무렇지도 않아요. 그거!
‘어.. 저 그쪽이랑 같은 조 하기 싫은데 저리 가실래요?;’
이렇게 하는 사람들 잘 없거든요.
껴달라고 부탁하는 게 어렵다 하시는 분들은 그냥 교수님한테 얘기하세요!
교수님, 제가 이 수업을 혼자 듣는데 아는 사람이 없어서 어느 조에 들어가야 되는지 모르겠다.
교수님이 임의로 넣어주시거나 짜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하고 말씀드리면 해주세요. 또!
‘니가 알아서 해;’ 이렇게 하시는 교수님 없고.
그리고 꼭 그렇게 남는 사람들이 있거든요. 나만 그런 거 아니거든요ㅎ
그런 사람들끼리 조를 붙여주시기도 하고요.
팀플 해야되는 수업인데 팀이 안 만들어질 일은 없으니까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편입이나 전과 준비하는 사람들 많은지?
네! 많아요. 제가 생각했을 땐 전과보다는 편입이 좀 더 그 진입장벽이 높은 것 같긴 해요.
왜냐하면 학교를 바꾸는 거니까, 공부 해야 되는 것도 많고 시험 준비도 해야되고..
전과도 물론 준비를 많이 해야 되고 성적도 어느정도 좋아야지 전과를 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지긴 하는데
전과는 그래도 학교 안에서 움직이는 거다 보니까 비교적 편입보다는 그 문턱이 살짝은 낮다 그래야되나?
학과 들어왔는데 생각보다 너무 나랑 안 맞아서 진짜 못 다니겠다고 하시면 전과 하셔도 되죠!
제 주변에도 전과 한 사람들 좀 있었고요.
그 친구들도 다 만족하면서 전과한 학과 잘 다니고 하더라고요.
팀플할 때 팀원이 무임승차 하면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지?
저같은 경우에는 제가 거의 조장을 하거나, 피피티 만들기랑 발표 제가 다 하거나 이런 경우가 많았거든요.
그래서 전 애초에 무임승차 할 기회를 안 주는 것 같아요.
역할을 무조건 줘요! 전 하나부터 열까지 어떻게 하는지 제가 다 가르쳐 준 적도 있거든요.
‘자료조사 여기서 이렇게 해오시고요. 이렇게 출처 남겨주시고 이런 내용들 위주로 찾아주시면 됩니다’
근데 그렇게 하나부터 열까지 다 알려줘도 제대로 안 해오는 친구들도 있긴 했거든요.
진짜 블로그 url, 링크만 딱 긁어와서 그것만 보내는 사람들도 있고 했는데
그럼 저만 스트레스 받고 저만 제 할 일을 못 하기 때문에 그냥 시킬 수 있는 거 최대한 다 시키고,
안 한다? 그럼 조원 평가 하거나 교수님한테 피드백 메일 쓰는 경우도 있거든요.
그럴 땐 그냥 교수님한테 다 얘기합니다.
근데 보통 그렇게 거의 내가 독박 쓰듯이 하는 팀플이 있으면 교수님도 다 아시거든요.
저한텐 실제로, 딱 팀 만들어지고 다들 너무 적극적이지 않아서 제가 조장을 한 적이 있었는데,
그 때 교수님이 보시고는 ‘그래.. 니가 고생이 많다’ 라고 하셨어요.
교수님들도 다 아시기 때문에, (조원에 대해서) 너무 악담을 하고 이렇게까지 할 필요는 없고
그냥 각자 팀원들이 어떤 역할을 했고 어떤 기여를 했는지만 딱 적어서 보내도 교수님 다 아십니다!
그래서 너무 그거에 열 낼 필요는 없어요. 물론 화는 나겠지만.
교수님 또 그 팀에서 열심히 하는 사람들 다 알아보십니다.
장학금 받기 많이 힘든지?
일단 국가장학금 있고, 학교에서 주는 교내장학금 있고요.
그리고 학교 외에 외부 단체나 기관에서 주는 외부장학금, 이렇게 크게 세 가지가 있는데요.
국장은 아실거고, 교내장학금도 잘 찾아보면 여러 조건들에 부합하면 주는 경우도 많아요.
공모전 같은 데 수상을 한다든지, 성적이 좋다든지, 이전 학기에 비해서 성적이 얼마정도 올랐다든지..
여러가지 이유로 많이 주거든요. 모의토익을 쳤는데 몇 점이 넘었다든지 이런 걸로!
그런 것들은 학교 홈페이지에 꼼꼼하게 다 나와있으니까
항상 학교 홈페이지를 잘 확인을 하는 게 중요하고요.
그리고 교외장학금 같은 경우에도 인터넷에 검색하면 그런 시에서 주는 장학금,
전공 살리는 사람 많은지? 뭐 살리는 사람도 있고 안 살리는 사람도 있겠죠?
Do many people start a career based on their major? I guess some do, some don’t
요즘에는 전공 안 살리는 사람이 훨씬 많은 것 같아요.
I think more people don’t use their degree these days
제 주변에만 해도 전공 안 살리는 사람들 진짜 많고요.
So many people around me didn’t pursue a career related to their major
문과 학과 다니다가 갑자기 졸업하고 혼자 공부해서 개발자로 취직한 친구들도 있고요.
I have a friend who majored in liberal arts then started a career as a developer after studying it on their own
생각보다 그런 경우가 진짜 많으니까
it happens more than you think
‘전공을 무조건 살려야된다’ 라는 거에 크게 강박은 안 가지셨으면 좋겠어요.
Please don’t think ‘I have to use my degree’
내가 대학교에서 배운 건 뭐가 됐든간에 나중에 나한테 다 좋은 밑바탕이 되는 거기 때문에
Whatever you learnt from a university will build a good foundation for you later.
전공이 좀 안 맞더라도 배울 때 열심히 배워두시면 분명히 좋게 쓰일 날이 올 겁니다.
Though your major isn’t too suited for you, if you study hard, I’m sure it will come in handy one day
혼자 다녀도 괜찮은지? 혼자 잘 다니는 꿀팁!
Is it ok to be a loner? How can you be alone well?
전 진짜 혼자 다니거든요. 졸업한 동기들도 많고, 전 혼자 다니는 거 아무렇지도 않았어요!
I am a loner. Many of my friends have graduated. Being alone doesn’t bother me!
어차피 들어갈 땐 다 똑같이 들어가서 동기들이 중요하고, 같이 다니는 친구들이 중요하고
Everyone starts at the same time so your year group is important. Your friends are important
그럴 순 있지만 각자 휴학도 하고, 일도 중간중간 하고
but on the way, some people will take a study break, some will work
해외에 어학연수나 교환학생을 갔다온다거나 인턴쉽에 참여한다거나
some will go study abroad and go on an exchange program, or do an internship
이런 식으로 하다보면 각자 다 찢어지게 되어있거든요.
In the end, everyone goes their own way
무조건 들어갔던 동기들하고 똑같이 졸업할 수가 없고요.
You can’t always graduate at the same time as the people who started with you
그리고 다른 사람들한테 맞춰서 학교 다니지 마세요.
Also, don’t try to match your university life to others
그냥 내가 원할 때 휴학하고, 원할 때 학교 다니고 내가 원하는 수업 듣고
Take a study break when you want to, go back when you want to, enrol to the classes you want
그렇게 하시는 게 훨씬 좋습니다.
That’s much better
혼자 다니는 사람 진짜 많고요. 대학에. 혼자 다녀도 아무도 ‘어머, 쟤 뭐야..’
Many people are on their own at university. No one thinks ‘Oh, what’s wrong with them?’
‘혼자 다니나봐.. 친구 없나봐.. 너무 불쌍해ㅠ’
‘They are a loner… maybe they don’t have any friends… how pity’
‘어떻게 학식을 혼자 먹고 있지..?’ 이러는 사람 한 명도 없어요. 진짜! 아무도 신경 안 쓰거든요, 남.
‘How can they eat on their own?’ Seriously! No one cares
전 오히려 혼자 다니는 게 편해가지고 일부러 혼자 다닙니다.
I’m a loner because that’s more comfortable for me
내 할 일만 잘 하면 되죠. 혼자 다니는 게 뭐 대수예요?
I just gotta do my work well. What’s wrong with being a loner?
입학 전부터 친목하는 사람들도 있던데, 입학해서 동기들과 친해질 수 있을까요?
Some people start making friends even before university starts. Will I be able to make friends with my year group when we start?
전 솔직히 입학도 하기 전에, 직접 만나기도 전에 단톡에서 막 시끌시끌하고
Honestly, I don’t prefer talking a lot and being friends with others on a group chat
말 많이 하고 친해지는 거 그렇게 선호하는 편은 아니거든요.
before university starts, before I meet them in person
물론 그렇게 해서 대학교 내내 엄청 친하게 잘 붙어다니는 친구들도 있고요.
Of course some people get close like that and get along for the entire duration of their university course
근데 전 그런 편은 아니었어서.. 그래도 대학교 들어가서 만나면 다 어느정도 친해지게 되어있고
but I wasn't like that… Once your university starts, everyone will get along somehow
그 중에서도 진짜 친한 친구를 만들수도 있는 거고요.
Maybe you will find a real friend
시작하기도 전에 남들은 다 친한 것 같고 그렇다고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Don’t worry too much because everyone seems to be close even before the course started
특히 단톡이나 온라인에서는 친해보여도 실제론 안 그런 경우도 많고요.
Though they look close online or on group chat, they often not in real life
온라인상으론 엄청 친하고, 좋은 애인 것 같았는데 실제로 만났을 때 좀 멀어지는 경우도 종종 있고요.
In real life, you may not get along with a person who seemed nice and became close to you online. That happens too
너무 이런 친목에 연연하지 마세요. 여러분!
Don’t stress too much about friendship!
현역이랑 나이 차이 나는 게 고민인데 동기중에 n수생 있으면 불편해하는지?
I’m worried that I’m much older than other students.Will other students think I’m uncomfortable because I’ve repeated a few years?
음.. 저도 입학했을 때 언니들도 있었고요. 나이 많은 사람들도 있긴 했는데
Hmmm.. When I started, some were older than me, some were significantly older
전 그렇게 신경쓰이지 않았어요. 어차피 동기고 몇 학번 차이나는 선배 이런 것도 아닌데
It didn't bother me. We were in the same group. They weren’t senior students or anything
전 크게 신경 안 썼던 것 같아요. 다른 친구들도 그냥 엄청 다들 편하게 서로서로 대하고..
It didn’t bother me that much. Other friends all treated them comfortably
뭐 n수생, 재수생, 편입생이라고 해서 ‘뭐야.. 나이 겁나 많아’ 이렇게 하진 않으니까 걱정 안 하셔도 됩니다.
Even if you are repeated or transfered, no one will say ‘What the heck, you are so old’. Don’t worry
그리고 실제로 재수생, n수생 대학교에 얼마나 많은데요.
There are so many students who have repeated a year or a few
친구 사귀는 방법에 대해서 걱정하시는 분들이 진짜 많더라고요.
So many people worried about how to make friends
근데 말씀드렸다시피 친해질 사람들은 다 친해지게 되어있고요.
Like I said, you will become good friends if you are meant to be
입학 하고 나서 다 서로 낯설고 서먹하기 때문에 그냥 먼저 말 걸고 먼저 다가가고
At first, everyone will be awkward and shy. It’s totally fine to start a conversation first
이렇게 하셔도 아무 문제 없고, 오히려 그렇게 서로 먼저 다가가주면 되게 좋아할 거예요.
actually, they will like it if you approach them first.
전 먼저 다가가는 편은 아니었는데, 그렇게 또 다가와준 친구들 있었고요.
I wasn’t like that but some of my friends approached me first
대학 친구는 찐친이 될 수 없다 이런 말 진짜냐고 물어보셨는데 이것도 사람마다 너무 다르죠!
Someone asked me whether it’s true that you can not make a real friend at university. It depends!
전 연락하는 대학교 친구 3-4명, 이 중에서도 주기적으로 만나는 친구 딱 1-2명 정도밖에 없어요.
I am still in touch with 3~4 of my university friends. I only meet 1~2 of them regularly
대학교 가서 친구 사귀는 게 나의 대학 라이프에 엄청난 영향을 끼치는 건 아니고요.
Making a friends at university doesn’t affect your university life hugely
선배들이랑 밥약 많이 하는지, 밥약 해도 되는지!
Do senior students often buy junior students food? Can you do that?
일단 저는 밥 얻어먹은 적이…
I got treated….
기억이 안 나는 거 보면 많지 않았던 것 같고요. (1-2번 정도..?)
I can’t remember, I guess that didn’t happen a lot (Maybe 1-2 times)
그리고 제가 선배들한테 사랑받는 후배는 아니었던 것 같아요.
I guess I didn’t get loved by the senior students that much
전 실습이 많은 과이다보니, 선배들 촬영할 때 촬영장 가서 스탭으로 돕기도 하고
My course is full of practical lessons. Juniors would sometimes help senior students at a filming site as a staff
이렇게 하면서 원래 선배들이랑 친해지거든요. 저희 과는!
That’s how you get close to the senior students in our course!
전 입학했을 때 영화에 큰 관심도 없었고, 촬영장 가는 거 별로 좋아하지도 않았고
When I first started, I wasn’t that interested in movies. I didn’t like going to filming sites
내가 이쪽 전공을 살릴거란 생각도 딱히 없었고..
I didn’t think I’d pursue my career in this industry
그래서 처음에 선배들이 와서 도와줄래? 올래? 라고 했을 때 거절을 계속 했거든요.
So when they asked me to help, I rejected continuously
좀 싫었을 거예요, 제가! 너무 거절을 많이 해가지고..
They probably hated me because I rejected them so many times!!
몇 번 거절하니까 안 부르시더라고요.
They stopped asking me after a few rejection
근데 내가 선배들이랑 좀 친해지고 싶고 그러면 그냥 같이 만나서 밥도 먹고 하는 거 완전 상관없죠!
If you want to be close to your seniors, it’s totally fine to meet them and eat together
저도 같은 과 후배가 밥 사달라 하면 사줄 것 같은데요?
I’d pay for food is a junior student from the same course asked me to
아, 왜 나한테 밥 사달라 하는거야.. 이렇게 하는 사람 잘 없지 않을까요?
Not many people will think ‘Ah, why would you ask me to pay?’
물론 과 특성따라 다르긴 하겠지만, 선배들이랑 친해지면 정보 같은 것도
I guess that will depend on the atmosphere of your course but if you get close to the seniors,
선배들이 더 먼저 알게 된 부분들이 있으니까 그런 면에서도 좋은 것 같고..
They might share the information they found out first with you.. That would be good
근데 또 너무 그런 거에 목 맬 필요는 없을 것 같아요.
but please don’t think that’s everything
대학 가면 남자친구 생기는지?
Will I get a boyfriend when I go to university?
어.. 뭐 생기는 사람도 있고 안 생기는 사람도 있고?
Um… some will, some won’t?
이렇게 질문 해주시는 게 다 너무 사람마다 달라서..
This question is… it all depends..
cc 괜찮은지도 많이 물어보셨는데, 전 개인적으로 cc는 추천하지 않습니다.
Many of you asked whether it’s alright to date someone from the same course. I don’t recommend it
특히 입학하고 나서 3월달에 cc가 되는 건 진짜 최악이거든요.
It’s particularly bad to be a couple in march after you started
둘이 잘 사귀면 괜찮은 거 아냐? 하다가도 일단 3월달에 입학 하자마자 cc가 되면요.
You might think ‘Isn’t it alright as long as you two get along’ but if you immediately become a couple in march,
다른 친구들을 사귈 기회가 상대적으로 떨어지고요. 특히 선배랑 cc가 됐을 때 굉장히 힘들 수가 있습니다.
you will have less chances to meet other friends. It can be particularly hard if you date your senior
전 cc는 완전 비추.. 노.
I do not recommend it at all… no..
같은 과는 아닌데 같은 대학 안의 타 단과대다. 그런 경우도 안 되나요?
What if they are not from the same course but within the same university? Still no?
그거야 여러분 마음이죠! 근데 어떻게 사귀든간에 전 3월달에 바로 cc 하지마라..
It’s up to you! But no matter how you date them, don’t be a couple in march
처음 봤는데 서로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좋은 모습만 서로에게 보여주고 싶지 않겠어요?
When you first meet someone, you don’t know about each other. You’d only want to show the good side of you
물론 전 cc 한 적 없고요. 그건 너무너무 잘 한 선택이라고 생각하고 있어요.
I have never dated anyone from the same course and I think that was a great decision
대학엔 정말 똑똑하고 수준 높은 사람들이 많은지?
Are there a lot of smart and sophisticated people in university?
근데 대학 뿐만 아니라 이건 어딜 가서도 그런 사람은 그렇고 안 그런 사람은 안 그런 거 아닐까요?
No matter where you are, there will always be sophisticated and not sophisticated people
여러분이 대학 가셔서 정말 똑똑하고 수준 높은 사람이 되세요!
You become the smart and sophisticated person at your university!
과팅 많이 들어오는지?
Are there many major-group blind date offers?
저 1학년때도 좀 있었던 것 같아요. 다른 대학교 애들이랑 연결해서 단체 미팅 같은 거 하고
There were a few in the first year. Someone organized a group blind date with students from another university
그런 거 있었는데 전 그런 자리는 한 번도 안 나갔고요.
I have never attended that
왜냐하면, 보통 같이 술 마시고 노는 그런 분위기라서..
because they usually drink and party together…
전 그런 거 별로 안 좋아해서 참석을 다 안 했거든요.
I’m not a huge fan of that so I never attended
근데 한번쯤 나가보는 것도 전 나쁘진 않을 것 같아요.
but I don’t think it’s a bad idea to attend
과팅 뭐 매번 들어오는 것도 아니고, 이건 1학년의 특권이라 생각하기 때문에..
The chance will not always be available. I think it’s a previlate of freshmen..
보통 1학년 때 이런 거 많이 하거든요. 저학년 때.
It usually happens in the first year.
한번쯤 경험해보는 것도 그것 나름대로의 추억이 되지 않을까, 적당한 선에서!
I think that experience could be a good memory, as long as you don’t cross the line!
대학교 가서도 무리짓는 사람들이 있는지.
Do people form a group in university?
어딜 가나 무리 짓는 사람들은 있죠. 그걸 크게 신경 쓸 필요는 없을 것 같아요.
There will always be people who form a group but there’s no need to care
학생회비 꼭 내야하는지? 학생회비는 등록금에 포함되는 내역이 아니고요.
Do I have to pay for the student council fee? It’s not included in your tuition fee
별도로 내가 엠티 가거나 모임 같은 거 하거나, 과에서 하는 행사 이런 것들 주최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을
That fee is to cover the cost for teambuilding, meetings, and events in your course !
학생회비에서 쓰는거거든요. 반드시 내야되는 건 아녜요!
It’s not compulsory
내가 근데 과에서 이런 엠티나 이런 거 다 갈 거고 과생활 다 누릴거다 하시면 내는 게 맞겠지만.
but if you are going to attend team buildings and enjoy university life with the people in your course, you should pay
나 그런 거 참여하지도 않는데 누가 학생회비 안 낸다고 뭐라하거나 강요한다면..
If someone complains or forces you to pay even though you never attend those events…
아주 나쁜 사람이에요ㅎ
That’s a very bad person
대신 내줄 것도 아니면서. 그쵸?
They won’t pay for you. Right?
휴학하고 할 만한 거 추천! 일단 전 휴학을 3년 가까이 했던 것 같고요.
Things to do during a study break! First of all, I took almost 3 years of study break
전 일 했어요.일! 휴학 하면서 그냥 논 적은 없었고요. 무조건 일을 했고
I worked! I didn’t just relax during a study break. I always worked
유튜브를 쭉 했기 때문에. 제가 영상 만드는 일이 너무 바쁘고 학교랑 병행하기가 너무 버겁다,
Because I was always on Youtube. Whenever making videos and studying at the same time
체력적으로 벅차다 했을 때 한 학기씩 휴학하고 이렇게 차곡차곡 휴학했기 때문에
became too busy and physically tiring, I took a break for a semester every now and then
휴학 하시고 전 알바를 다양하게 해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고요.
It’d be nice to take a break and do different part time jobs
대외활동 많이 경험해보는 거, 봉사활동 해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고
Experience a lot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maybe a volunteer work
아니면 짧게 인턴쉽 같은 걸 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Or a short internship would be nice too
굳이 일하거나 공부하지 않아도 내가 가고 싶었던 여행지에 가 볼 수도 있는 거고요.
You don’t have to work or study. Maybe you can travel to the place you wanted to go.
사실 사회에 나오고 취직하면 내 시간을 따로 빼서 여행을 간다는게 엄청나게 큰 챌린지가 되거든요.
It’s a huge challenge to take a leave to travel once you start working
그렇게 길게 쉴 수 있는 기간도 별로 없고요. 그것도 전 대학생만의 특권이라 생각해서..
You can rarely have a long break like that too. I think it’s a privilege for university students..
뭐 휴학하고 가는 것도 한 번 정도는 괜찮고, 방학때도 여행 많이 다니시라고 그렇게 말씀을 드립니다.
I guess traveling during a study break for once would be alright. I recommend that you travel a lot during a semester break
공모전, 자격증, 시험 어떻게 하면 좋을지..
What should I do with contests, licenses and exams?
스펙에 대한 압박 같은 것도 입학하기 전부터 많이 느끼시는 것 같더라고요.
Many people feel pressured to improve their resume even before they start university
근데 그냥 내가 관심있는 분야, 아니면 내가 재밌다고 느끼는 분야는 무조건 다양하게 도전을 해보세요.
Challenge a lot in the areas of your interest, in the areas that entertains you
그게 다 나의 기록이 되는 거고 스펙이 되는 거고요. 경험이 되는 거기 때문에!
That becomes your record, that will be on your resume because that’s your experiences!
그리고 어떤 경험을 하든 항상 흔적을 남겨야 돼요.
No matter what you experience, you always have to leave an evidence
수상 이력이 됐든 인증서가 됐든, 그런 것들을 꼭 문서화해서 기록을 남겨놓으시길 바랍니다.
It could be your award history or a certificate. Make sure you document everything
이런 것들이 다 도움이 되거든요.
They will all help in the future
그리고 자격증이나 시험 같은 것들은 보통 3학년 때부터 준비를 많이 하고요.
Most people start preparing for licenses and exams from the third year
왜냐하면 자격증도 종류따라 다르긴 하지만 유효기간이라는 게 있기 때문에,
Because I know it depends but most license are valid for certain time only,
보통 한 2-4년 이정도거든요. 보통 4학년 막학기 때 취준을 많이 하기 때문에
It’s usually 2-4 years. Usually people start a job hunting on the last semester of their 4th year
그 때 이상까지 좀 안전하게 만료가 되지 않으려면 보통은 3학년 끝나고,
to make sure your license doesn’t expire till then, people usually start after they finish the 3rd year
4학년 때 부터 취준을 많이 하죠. 그래서 1-3학년 때 학교에서 들으라는 수업 착실하게 다 듣고
and start job hunting in their 4th year. Attend all the lectures you are meant to take from 1st to 3rd year
최대한 학점을 많이 들어서 먼저 학점을 잘 채워놓고요. 그래야 4학년 때 내 시간이 많아지고
Take as many units as possible to fulfill it. That way, you will have more free time in your 4th year
학교에서 듣는 수업이 적어지면서 취준에 좀 더 집중을 할 수 있습니다.
With less lectures to take at university, you should be able to focus on job hunting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