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이 너무 길어서 죄송해요ㅠㅠㅠ 늘 고생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새내기 필수! 대학생활 완전정복 ssap가넝한 대학생활에 대한 모든 것
개강하기 전 꼭 봐야하는 대학생활에 대한 모든 것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제가 얼마전에 인스타에서 질문을 받았던 대학생활 큐앤에이를 찍어보려고 하는데요.
제가 질문을 정리를 쭉 해왔어요. 보이시려나 모르겠네?
이렇게 종류별로 정리를 해가지고 왔거든요.
근데 전 질문이 별로 없을거라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진짜 많이 질문을 주시더라고요.
대부분 겹치는 내용이 많아서, 제가 좀 정리를 해서 말씀을 드려볼게요.
수강신청 잘 하는 방법! 이것도 진짜 많이 물어보시던데
사실 꿀팁이라고 할 것 까진 없고, 이건 거의 운이 크게 작용하는 것 같긴 해요.
저도 수강신청 몇 번 실패해본 사람으로서, 얼마나 내가 준비가 되어있느냐가 중요하거든요.
이건 학교마다 다를 수 있는데, 저희 학교 같은 경우에는 사파리보단 크롬 사용을 권장한다곤 하던데
사실 제가 생각했을 땐 사파리 쓰든 크롬 쓰든 이런 거 상관없이 손 빠른 사람이 이겨요..
그리고 학교마다 서버가 다르기 때문에..
그냥 기본적인 거 말씀을 드리면,
저는 네이버 시계, 휴대폰 시계, 노트북 시계 이렇게 세 개를 한꺼번에 보거든요.
그게 가끔씩 1초, 2초 이렇게 차이가 나는 게 있는데
그걸 보면서 제일 먼저 바뀌는 시계의 시간에 맞춰서 수강신청 딱 들어가서 하고요.
그리고 약간 전략적으로 하는 게 중요해요.
전공수업이 있는데 그건 내 학년에 들어야하는 수업이면 전공은 전 좀 뒤로 미뤄놓고
빡센 교양, 그런 걸 먼저 신청을 하거든요.
그런 교양은 다른 과 학생들이랑도 경쟁을 해야되기 때문에 그런 걸 우선으로 먼저 신청을 하고
전공은 사실 내가 그 학년이 들어야 되는 학년이면 ‘빌넣’이라고 하잖아요. 빌어서 넣기!
그렇게 빌면 넣어주는 경우도 있거든요.
수강신청 하시기 전에 팝업 같은 거 잘 뜨는지 그런 것도 다 허용으로 바꿔놔야 하고.. 이런 것들?
에바님은 어떻게 학업과 일을 병행하고 있는지도 질문해주셨는데,
전 유튜브 대학교 입학하고 1학년 여름방학 때부터 시작을 한 거거든요.
그래서 거의 대학생활 하는 내내 학교를 다니면서 유튜브를 하고 있는데,
뭐든지 그때그때 해 놓으면 힘들지 않아요! 내가 힘든 이유는 미루기 때문이에요.
과제 같은 거 미리 하거나, 수업 했던 거 복습하거나, 영상 같은 것도 미리 미리 찍어놓고
편집을 그때그때 해놓으면 사실 밀릴 일은 없거든요.
막 시험기간에 엄청 학점 많이 듣고 이럴 때 조금 힘들긴 했는데,
그래도 이제 원래 내가 해야 되는 일이니까 이거는. 제가 하기로 선택한거고.
진짜 죽을 것 같다! 까진 아니었어요.
몰라요. 또 시간 지나서 이렇게 얘기할 수 있는 것 같기도 하고.
그리고 학점 관리 잘 하는 꿀팁, 성적장학금 받는 방법 이런 것도 많이 물어보셨는데
유튜브랑 같이 병행을 히고 있잖아요. 또 실습이 점점 많아지면 이게 체력적으로도 힘이 딸리더라고요.
그런 것 때문에 실습 많이 들을 때 학점 관리를 사실 잘 하진 못했어요.
좀 저학년 때는 그래도 전공 과목도 실습 많이 없고, 거의 이론 위주로
교양도 내가 듣고싶은 거 신청해서 들을 수 있었기 때문에
그 때는 성적장학금도 받고 그랬거든요. 근데 공부법이라고는 딱히 없어요.
사실 우리나라 입시를 겪어본 그런 사람들이라면 고등학교 때의 반 정도만 해도 과탑 먹을걸요?
그니까 대학교 와도 열심히 하는 사람들은 진짜 열심히 하는데,
그렇지 않은 사람들도 있거든요. 대학에도! 고등학교도 그렇잖아요.
그래서 어딜 가든지 내가 있는 그 곳에서 나만 열심히 하면 전 잘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대학교는 시간 확보가 정말정말 중요하기 때문에 과제 같은 거 나오면
무조건 미리미리 해두시는 게 좋긴 해요.
너무 당연한 얘기지만, 딱 과제 교수님이 주신 그 날에 바로 끝낸다는 생각으로 미리 해놓고
제출하기 전에 한 3번 정도 더 체크하면서 읽어보고 제출하면 그렇게 학점을 못 받지는 않을 거예요, 아마!
미리 과제같은 거 해놓으면 시험기간에 그 시간들이 확보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시험공부 하는 데 활용을 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생각보다 어떻게 보면 불친절(?)한 교수님들이 좀 많이 계실 수도 있거든요.
이거 시험에 나오니까 적어두라고 하시는 교수님들도 계신데, 안 그러는 교수님들도 많이 계셔서
수업시간에는 최대한 그냥 놓치지 않고
교수님이 수업하시는 내용들 잘 귀담아 들을 필요는 있는 것 같아요.
그리고 이건 또 학교마다 다를 수는 있는데 성적장학금 같은 경우에도
무조건 내가 평점이 잘 나왔다고 해서 주는 게 아닐 수도 있거든요.
평점이 잘 나와도 내가 신청한 학점수가 좀 적다, 이러면 신청한 학점수가 더 많은데
나보다 평점이 조금 낮은 사람한테 장학금이 갈 수도 있는 거고요.
많은 학점을 듣고 평점을 잘 받아도 전공의 비중이 너무 적다,
그러면 다른 사람이 받을 수도 있는 거거든요.
그래서 일단 학점 많이 듣고, 전공 위주로 듣고,
평점이 좋은 사람한테 우선순위가 간다고 생각하시면 편할 것 같아요. 뭐 학교마다 다르겠지만!
또 요즘에는 절대평가도 많이 하잖아요, 비대면 수업 하면서.
그래서 그런 것들 잘 노려봐도 좋을 것 같아요.
절대평가 하는 수업들은 내가 어느 기준에만 미치면
성적을 잘 받을 수 있는 확률이 상대평가 보다는 크기 때문에.
빡센 시간표에 알바까지 잘 해낼 수 있을지 걱정이라고 하셨는데
전 오히려 고정적으로 하는 일이 있으면,
이 일을 하기 위해서 내가 시간관리를 엄청 잘 해야된단 말이에요.
저는 충분히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본인의 한계는 본인이 가장 잘 알잖아요.
전 내가 100을 할 수 있는데 100을 다 하면 나중에 번아웃이 온다고 생각하거든요.
전 항상 내가 100을 할 수 있으면 80 정도 까지만 해요.
이게 어떻게 들릴지는 모르겠지만, 80이 제가 할 수 있는 최대의 효율이라고 생각하고
그렇게 했을 때 결과가 잘 나오면 너무 좋은거고, 결과가 잘 안 나오더라도 크게 실망하지 않고
그 다음으로 빨리 넘어갈 수 있는 힘이 생기는 것 같더라고요.
전 제가 들일 수 있는 최소한의 노력으로 최대의 효율을 추구하는 편이라서 그렇게 하는데
또 나는 내가 100을 할 수 있으면 120의 공을 들이는 게 성과가 좋다 하시면 그렇게 하셔도 상관은 없겠죠?
교환학생이나 어학연수 가 볼 생각은 안 하셨나요?
2학년 올라가는 겨울, 1월달 이 때 있죠?
그 때 제가 원래 교환학생 신청을 했었는데 붙은 거예요!
그게 프랑스 파리에 있는 대학교였고, 그 학교에서 입학허가서도 받고
나갈때까지 한달정도 남았을 때, 그 때 파리에서 엄청 큰 테러가 일어난 거예요.
그래서 못 갔거든요.
근데 그런 게 있어요. 교환학생을 신청해서 붙었는데 내가 안 가겠다고 해서 안 가잖아요?
그럼 일정기간 동안 교환학생 신청을 할 수 없게 불이익이 주어지는 게 있거든요.
만약 그 때 교환학생을 갔다면, 지금 유튜브를 안 하고 있을 수도 있겠죠?
근데 좀 아깝긴 해요. (그 이후에) 가볼걸 하는 건 있었는데
그게 또 신청할 수 있는 기간 같은 게 정해져 있거든요.
뭐 막학기에는 신청 못 한다 이런 것도 있고.. 성적기준이나 어학기준 같은 것들도 있어서
그런 것들 잘 찾아보시고, 전 한번쯤은 갔다 오는 것도 나쁘진 않다고 생각해요.
만나는 사람들도 달라지고 세상을 보는 견해가 좀 달라지는 것 같더라고요.
갔다 온 친구들 얘기를 들어보면!
고등학교 때 처럼 공부 경쟁이 있는지?
어느정도 있는 것 같아요. 특히 1학년 때 그게 좀 있는 것 같고..
(고학년이 될수록) 훌륭한 학점을 유지하는 게 갈수록 어려워지긴 하거든요. 전공이 많아질수록!
그래서 갈수록 견제를 하는 건 줄어들었던 것 같아요.
그래도 성적장학금 노리거나 과탑같은 거 노리는 친구들 있으면
서로 은근히 견제 아닌 견제를 조금씩은 하는 것 같아요.
근데 그런 게 다 무슨 소용이겠어요. 그냥 내가 잘 하면 되는거지.
레포트나 보고서 잘 쓰는 방법? 자료조사 잘 하는 방법!
이건 근데 확실히 많이 써봐야 하는 것 같아요.
근거자료가 많이 탄탄하게 뒷받침이 되면 좋겠죠?
제가 많이 썼던 사이트가 ‘RISS’라고, 논문 같은 거, 자료 같은 거 찾아볼 수 있는 사이트 하나 있고요.
그리고 국가전자도서관! 여기서도 학위논문이나 문헌 같은 것들 많이 볼 수 있거든요.
해외 논문 같은 것들도 많이 올라와있어서 이런 데도 찾아봤고,
전 이렇게 두 가지 사이트를 크게 제일 많이 썼던 것 같아요.
그리고 이것 뿐만 아니라 기사 같은 것도 전 많이 서치를 했고,
이런 자료들 쓸 때 출처 표기하는 방법이 또 다 따로 있거든요.
그런 건 검색하시면 엄청 정리 잘 된 거 많이 나오니까 그것들 보고 하시면 되겠습니다.
자료도 진짜 참고용으로만 들어가야지, 너무 이 자료의 내용을 다 배끼다시피 넣으면
요즘엔 또 표절검사 다 하기 때문에, 내 생각을 최대한 많이 넣는 게 좋고요.
그러려면 그거에 대해서 고민을 많이 해봐야겠죠?
어떤 주제가 있으면 그 주제에 대해서 내 생각을 정리를 한 번 해보는 과정이 필요할 것 같고요.
그래서 어느정도 나의 주장이 확립이 되면 그거에 관련된,
나의 주장을 뒷받침 해줄 수 있는 근거들을 찾는 데 시간을 많이 보냈고
그리고 그런 논문 같은 거 읽으면서도
‘아, 이런 시점에서 볼 수도 있겠다’ 하는 것들 분명히 생기거든요.
그런 것들을 ‘이 논문의 필자는 이런식으로 자료들을 활용해서 이런 주장을 했고,
난 이 부분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한다’. 결국에는 내 생각이 많이 들어가는 게 중요한 것 같아요.
그리고 사실 교수님들 과제 내주시는 것 보면, 그 내주신 의도가 어떤 건지
딱 정해져 있는 것들이 사실 조금 있거든요.
정해진 결론까진 아니더라도 이 과제를 내줌으로써
학생들이 어떤 거에 대해서 고민해봤으면 좋겠다든지,
아니면 이런 부분에 대해서 다양한 견해를 내놓을 수 있어야 한다든지
분명히 수업시간에 수업을 듣거나 하면
교수님이 이 과제를 통해서 학생한테 바라는 게 뭔지가 딱 보여요!
그래서 그런 부분들을 잘 꼬집을 수 있는 내용을 넣는 게 중요하긴 하겠죠?
그런 것들을 잘 해주면 좋은 점수를 받을 확률이 높아진다.
고등학교 까지 교육을 받고 대학교 온 사람들이
기본적으로 배우는 글쓰기의 맥락이나 순서같은 게 있잖아요.
그런 것들을 그냥 잘 지키면 돼요. 사실 크게 다른 것도 없어요. 대학교 레포트라고 해서!
1교시 수업 추천하는지.
1교시면 보통 9시, 이럴 때 시작을 하잖아요.
근데 저는…
뭐 사람마다 다를 수는 있겠지만, 내가 진짜 제대로 된 대학교 라이프를 경험을 해보고 싶다하면
1교시도 괜찮을 것 같고요.
일단 오전 수업을 들으면 오전을 잠으로 날려버리는 일은 (아마..) 없겠죠?
시간 관리를 내가 좀 빡빡하게 잘 하고 싶다 하시면 수업을 오전에 몰아넣고
오후 시간에는 과제 같은 거 하고 내가 하고 싶은 일 하고,
그렇게 전 시간을 보내는 걸 좀 더 선호했던 것 같아요.
사실 오전 수업 안 듣는다고 해서 그 오전 시간 알차게 쓰는 사람들 전 거의 못 봤고요. 사실..
뭐 알바를 한다거나 이런 게 아닌 이상은 그냥 거의 다 잠으로 보내더라고요.
그럴 바에는 그냥 오전 수업 듣고 그 오후 시간을 내가 잘 쓰는 게 낫지 않나..
우주공강 시간 잘 활용하는 방법!
전 그렇게 했어요. 그날그날 교수님이 내주신 과제를 우주공강 시간에 다 한다는 생각을 하고
학교에서 다 끝내는 식으로 했고요. 만약 과제가 없다! 하면 집에 가서 편집을 한다거나..
전 자취를 해서 학교 근처에 살았거든요. 중간에 가서 밥 먹고 오기도 하고
그게 안 되면 노트북에 (할 거) 담아서 들고가서,
학교 카페나 이런 데 가서 중간에 또 내 할 일 하고 이렇게 시간을 보낸 것 같아요.
근데 맨날 그렇게 하진 않았고, 가끔 친구랑 중간에 나가서
밥 맛있는 거 먹고 좀 놀다 오기도 했고요. 시간 좀 널널하고 그럴 때는!
우주공강 보내는 방법은 굉장히 많아요! 항상 찾으면 할 일들은 생기기 때문에,
내가 진짜 할 일이 없다 그러면 그 시간에 다른 공부를 해도 좋고요.
아니면 내가 하고 싶은 대외활동, 알바 이런 걸 좀 알아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아요.
교수님마다 다르겠지만 평균적으로 수업하는 시간 얼마나 되는지?
이것도 학교마다 조금씩 다를 순 있는데, 보통 많아도 3학점 정도로 이루어진 수업들이 많은데
그럼 그 학점이 그 수업 시간이라고 보시면 편할 것 같아요!
보통 2학점은 2시간, 3학점은 3시간 이런 식으로 산출을 많이 하긴 하는데 이게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고요.
근데 보통 대학교 수업들은 한 번 수업하면 2-3시간은 기본으로 하는 것 같아요.
제가 봤던 것 중에 좀 긴 수업은 진짜 전공, 프로젝트 하는 수업 이런 거 6시간 짜리도 있고 한데
그걸 꽉 채워서 수업을 하시는 교수님들도 계시고요. 또 안 그런 분들도 계셔서
이건 진짜 교수님따라 케바케! 달라요.
시험공부 하는 방법?
그냥 저는 앞에 얘기했듯이, 과제는 미리 다 해놓고 그냥 수업시간에 교수님이 강조하셨던 거,
반복해서 얘기 하셨던 거, 그 단락의 배웠던 거에서 큰 맥이라 그래야되나?
그런 것들에서 파생된 것들까지 공부했습니다.
그냥 고등하교 때 처럼 하시면 될 것 같아요.
그리고 보통 시험을 한 번 쳐보면, 중간, 기말 이렇게 치잖아요.
그럼 교수님의 스타일이라는 게 있거든요.
내가 그걸 진짜 전혀 파악을 못 하겠다 싶으면 교수님한테 끊임없이 질문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순 있어요.
교수님이랑 여러분, 친하게 지내세요! 교수님들 생각보다 그렇게 어려운 사람들 아니거든요.
질문 많이 하고 이런 거 싫어하시는 교수님들 잘 없거든요, 사실.
또 많이 물어보고 수업 열심히 듣고 하면 교수님도 사람인데 그런 학생들 얼마나 예쁘겠어요.
하나라도 더 알려주고 싶고 가르쳐주고 싶고 그렇지 않겠어요?
수업 들을 때 팁! 전 그게 제일 중요한 것 같아요.
첫 수업시간에 졸지 않고 처음부터 끝까지 좀 맑은 정신으로 깨어있는 거.
이게 은근히 어떤 수업을 들을 때 그 첫 시간을 어떻게 보내는지에 따라서
좀 전 그 한 학기가 결정이 되는 것 같더라고요.
처음부터 막 졸고 수업시간에 집중 안 하고 딴짓하고 이러면
그 수업시간에는 그 뒤로는 계속 그렇게 하게 되는 경우를 정말 많이 봤고,
저도 그런 적이 있었고 그렇기 때문에 아무리 지루하고 듣고 싶지 않은 수업이더라도
내가 첫 시간을 잘 보내보자! 하는 그 마음가짐이 진짜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뭐 이게 항상 완벽하게 정비례를 하는 건 아니지만, 내 자리가 교수님한테 가까울수록
내 성적도 좀 더 높은 스코어에 가까워진다는.. 저만의 그런 게(?) 있거든요.
앞자리 다들 피하고 싶어하잖아요. 그래서 다들 뒤에 앉고 하는데
내가 너무 앞자리는 부담스럽더라도 최소한 3번째 라인 안쪽으로는 많이 앉으려고 했던 것 같아요.
확실히 좀 앞에 앉아야 수업 집중도도 높아지고요.
좀 딴 짓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줄어들잖아요. 교수님이랑 가까우니까!
그래서 수업에 좀 더 집중하게 되는 것 같아요.
수강신청 실패하면 어떻게 하는지?
시간표를 먼저 짤 때, 플랜 c까지 짜놓는 게 가장 좋아요.
a안, b안, c안 이렇게 세 가지를 짜놓고 a 먼저 시도하고 실패하면 b, 그 다음 c
이런 식으로 대안을 항상 마련해 놓는 게 중요하고요.
만약에 이거 다 실패했다! 그러면 진짜 빠르게 교수님한테 메일을 써야돼요.
아주 정중하게, 하지만 정말 간절하게!
메일 형식 같은 것도 이제 막 대학교 입학한 친구들은 잘 모르는 경우도 많더라고요.
직장생활 하는 사람들도 메일 쓰는 거 잘 모르는 사람들도 많기 때문에
그냥 형식은 간단하게 이런 식으로만 적어서 보내셔도 될 것 같고요.
그리고 수강생이 너무 많지 않은 이상, 전공이라면 이렇게 빌면 웬만하면 넣어주십니다.
그래서 은근히 그런 빌넣이 잘 통할 때가 많다.
제일 좋았던, 의미있었던 수업은?
교양수업이 좀 기억에 남는 게 많은 것 같은데, 그 중에서도 ‘이미지메이킹’이라는 수업이 있었고요.
그리고 ‘여성학’ 수업을 제가 옛날에 들었어요.
이 두 가지가 좀 좋았던 게, 이미지메이킹은 사람들 앞에서 스피치 하는 거 이런 것도 하거든요.
퍼스널컬러 진단 이런 것도 하는데 말하기, 발표하는 거, 목소리 톤,
언제 어디서 끊어서 읽고 숨을 쉬어야 되는지 이런 것들을 가르쳐주세요. 교수님이!
그래서 전 그 수업 할 때 그런 것들 좀 처음으로 제대로 배워본 것 같고,
다른 사람 앞에서 발표하는 걸 연습할 수 있는 수업이라서
처음엔 조금 부담스러웠는데 나중에 다 듣고 나서는 굉장히 저한테 많은 걸 남겼던 수업이 됐고요.
여성학도 마찬가지로 저에게 다양한 시각을 제공해줬다 그래야되나?
똑같은 문제를 바라볼때도 이전에는 단편적으로 봤다면,
이 수업을 듣고 나서는 여러가지 시각으로 볼 수 있게 된 것 같아요. 어느정도는!
그래서 좀 더 인권이라든지 이런 사회문제 같은 데 관심을 더 가지게 되는 계기도 됐고.
팀플하는데 친한 애들끼리 이미 조가 짜여있는 상황에선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저도 이제 학교도 오래 다니고, 대학교 친구도 많이 없어가지고
웬만한 수업 다 혼자 듣고 아는 사람 하나도 없어요.
근데 이렇게 팀플을 간혹 교수님이 ‘너네 알아서 친한 애들끼리 조 짜서 와라’
이렇게 하는 경우도 종종 있거든요.
그럴 때는 내가 들어가고 싶은 조 있으면 그냥 그 사람한테 가서
‘저.. 혹시 같은 조 하실래요?’ 이렇게 그냥 말 해도 돼요.
아무렇지도 않아요. 그거!
‘어.. 저 그쪽이랑 같은 조 하기 싫은데 저리 가실래요?;’
이렇게 하는 사람들 잘 없거든요.
껴달라고 부탁하는 게 어렵다 하시는 분들은 그냥 교수님한테 얘기하세요!
교수님, 제가 이 수업을 혼자 듣는데 아는 사람이 없어서 어느 조에 들어가야 되는지 모르겠다.
교수님이 임의로 넣어주시거나 짜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하고 말씀드리면 해주세요. 또!
‘니가 알아서 해;’ 이렇게 하시는 교수님 없고.
그리고 꼭 그렇게 남는 사람들이 있거든요. 나만 그런 거 아니거든요ㅎ
그런 사람들끼리 조를 붙여주시기도 하고요.
팀플 해야되는 수업인데 팀이 안 만들어질 일은 없으니까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편입이나 전과 준비하는 사람들 많은지?
네! 많아요. 제가 생각했을 땐 전과보다는 편입이 좀 더 그 진입장벽이 높은 것 같긴 해요.
왜냐하면 학교를 바꾸는 거니까, 공부 해야 되는 것도 많고 시험 준비도 해야되고..
전과도 물론 준비를 많이 해야 되고 성적도 어느정도 좋아야지 전과를 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지긴 하는데
전과는 그래도 학교 안에서 움직이는 거다 보니까 비교적 편입보다는 그 문턱이 살짝은 낮다 그래야되나?
학과 들어왔는데 생각보다 너무 나랑 안 맞아서 진짜 못 다니겠다고 하시면 전과 하셔도 되죠!
제 주변에도 전과 한 사람들 좀 있었고요.
그 친구들도 다 만족하면서 전과한 학과 잘 다니고 하더라고요.
팀플할 때 팀원이 무임승차 하면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지?
저같은 경우에는 제가 거의 조장을 하거나, 피피티 만들기랑 발표 제가 다 하거나 이런 경우가 많았거든요.
그래서 전 애초에 무임승차 할 기회를 안 주는 것 같아요.
역할을 무조건 줘요! 전 하나부터 열까지 어떻게 하는지 제가 다 가르쳐 준 적도 있거든요.
‘자료조사 여기서 이렇게 해오시고요. 이렇게 출처 남겨주시고 이런 내용들 위주로 찾아주시면 됩니다’
근데 그렇게 하나부터 열까지 다 알려줘도 제대로 안 해오는 친구들도 있긴 했거든요.
진짜 블로그 url, 링크만 딱 긁어와서 그것만 보내는 사람들도 있고 했는데
그럼 저만 스트레스 받고 저만 제 할 일을 못 하기 때문에 그냥 시킬 수 있는 거 최대한 다 시키고,
안 한다? 그럼 조원 평가 하거나 교수님한테 피드백 메일 쓰는 경우도 있거든요.
그럴 땐 그냥 교수님한테 다 얘기합니다.
근데 보통 그렇게 거의 내가 독박 쓰듯이 하는 팀플이 있으면 교수님도 다 아시거든요.
저한텐 실제로, 딱 팀 만들어지고 다들 너무 적극적이지 않아서 제가 조장을 한 적이 있었는데,
그 때 교수님이 보시고는 ‘그래.. 니가 고생이 많다’ 라고 하셨어요.
교수님들도 다 아시기 때문에, (조원에 대해서) 너무 악담을 하고 이렇게까지 할 필요는 없고
그냥 각자 팀원들이 어떤 역할을 했고 어떤 기여를 했는지만 딱 적어서 보내도 교수님 다 아십니다!
그래서 너무 그거에 열 낼 필요는 없어요. 물론 화는 나겠지만.
교수님 또 그 팀에서 열심히 하는 사람들 다 알아보십니다.
장학금 받기 많이 힘든지?
일단 국가장학금 있고, 학교에서 주는 교내장학금 있고요.
그리고 학교 외에 외부 단체나 기관에서 주는 외부장학금, 이렇게 크게 세 가지가 있는데요.
국장은 아실거고, 교내장학금도 잘 찾아보면 여러 조건들에 부합하면 주는 경우도 많아요.
공모전 같은 데 수상을 한다든지, 성적이 좋다든지, 이전 학기에 비해서 성적이 얼마정도 올랐다든지..
여러가지 이유로 많이 주거든요. 모의토익을 쳤는데 몇 점이 넘었다든지 이런 걸로!
그런 것들은 학교 홈페이지에 꼼꼼하게 다 나와있으니까
항상 학교 홈페이지를 잘 확인을 하는 게 중요하고요.
그리고 교외장학금 같은 경우에도 인터넷에 검색하면 그런 시에서 주는 장학금,
과대나 학생회 추천하는지. 전 둘 다 안 해봐가지고
Do you recommend being a student representative or joining a student council? I haven't experienced both
추천 한다, 안 한다 이렇게 말씀드리기 애매하긴 하지만
So it's hard to say I recommend it or don't recommend it
학생회 했던 친구한테 한 번 전화해서 물어볼까요?
Should I call my friend who was a member of the student council and ask?
어, 여보세요? 나 촬영하고 있는데 학생회 하는 거 추천하는지?
Oh hi. I'm filming right now. Do you recommend joining the student council?
-아~ ㅅㅂ 아니?
Ah fuck no
왜 비추천 하시죠?
Why wouldn't you recommend it?
-하.. 사람마다 다른데, 그냥 학생회는 내가 봤을 때 1-2학년때 제일 열정적일 때,
Well…it guess it depends but I think people join the student council in the first- second year when you are most passionate
-학교에 내가 뭔가 이바지 하고 싶을 때, 뭔가 나의 쓸모를 어떻게든 증명하고 싶을 때!
When you want to do something for the university and want to prove that you are useful
-혹은 사람들이랑 그냥 어울리고 싶을 때 그럴 때 하는 것 같은데..
Or maybe when you just want to hang out with people
-저..는 학생회를 하면서 크게 보람을 못 느끼고 내가 왜 이런것까지 해야되지?
It didn't feel rewarding for me. I thought 'How come they make me do this ?'
-지금 뭐 하고 있지? 공부나 해야되는데? 이런 걸 많이 느꼈습니다..
'What am I doing right now? I should be studying'...that's how I felt
오..네.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Oh…ok thanks for your insight
-학생회 하고 싶으면 하세요! 나쁘지 않습니다.
Join if you want to! It's not bad
-돌이키면 하는 것은 후회일 뿐.. 나쁘지 않습니다..
You will only regret later…it's not bad
아, 네. 그렇다네요, 여러분! 선택은 여러분이 하시는걸로~
Alright. Ok! The choice is up to you~
저도 사실 비추이긴 해요..
I honestly don't recommend it either
주변에서 과대한 친구들도 봤는데, 스트레스를 너무 많이 받고요. 일단!
I have friends who were a student rep and…first of all, they were so stressed
그리고 애들이 답장 안 주고 연락 안 되고 이런 것도 과대가 다 책임지고 연락하는 경우도 많고
If students don't reply and people can't reach them, it often becomes the student rep's job to contact them
잘못 안 한 것도 과대가 뒤집어쓰고 대표로 혼나는 경우도 많고요.
They often become responsible for someone else's mistake
이렇게 나서서 하는 거 좋아하시면 한번쯤은 해봐도 괜찮을 것 같긴 한데
If you like taking responsibilities, maybe it's worth a try
또 과대 하면 장학금 같은 걸 주기도 하고 하거든요.
You will get a scholarship for doing the job too
근데 저 개인적으로는.. 그런 걸 감수하면서까지 과댈르 하고 싶진 않다..
But personally… I didn't want to go through all that troubles to be the representative
고등학교 생활보다 대학교가 더 빡센지?
Is university more intense than high school?
음.. 어떻게 보면 그렇고, 또 어떻게 보면 아니에요!
Hmmm… it's yes and no
고등학교 때는 정해진 시간이라는 게 있잖아요.
In high school, your time is set
1-4교시 쭉 하루종일 커리큘럼이 정해져 있고, 밥 먹는 시간, 자는 시간 다 정해져 있기 때문에
Your curriculum is designed for each period, the whole day. Even your meal time and sleep time is already set for you
그거에 맞춰서 생활하는 게, 그게 힘들 수도 있지만 또 짜여져 있기 때문에
It might be hard to follow that schedule but because it's set for you,
내가 스스로 선택해서 해야되는 일들은 많이 없어서 그게 편하기도 하거든요.
It's convenient at the same time. You don't have to make your own decisions
대학교는 완전 반대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It's completely opposite in university
내가 내 시간 자유롭게 쓸 수 있고, 내가 원하는 강의를 듣고, 원하는 시간표를 짜지만
You can use your time freely, attend classes you want and set up your own timetable
대신 시간 관리도 내가 알아서 스스로 해야되고 거기에 뒤따라오는 일들에
Instead, you have to manage your own time and be responsible for what happens after that
책임도 내가 져야되기 때문에, 내가 이렇게 내 시간을 자유롭게 관리하는 게 내 성향에 적합하다!
If managing your own time freely is suited for you
그렇다면 대학교 생활 너무 프리하고 너무 좋은데? 라고 느끼실 수도 있고
You will think ‘Oh I love how free university is’
그게 아니면 더 힘들다고 느끼실 수도 있을 것 같아요.
if that’s not the case, you might find it hard
선후배, 동기 사이에서 조심해야 할 것.
What should you be careful of among senior/junior students and among the people in the same year group
당연히 말과 행동이죠!
What you say and do!
여러분, 진짜 말 조심하셔야 되고요. 진짜 행동 조심하셔야 돼요.
You have to be careful of what you say and what you do
이건 어디에 가나 똑같겠지만 절대 술 과하게 드시지 마세요.
I’m sure it's the same everywhere but don’t drink over your limit.
대학교 1학년 막 들어가면 자기 주량도 모르기 때문에 술 엄청 애들 과하게 마시거든요.
Freshmen tends to drink over their limit because they don’t know their limit yet
근데 진짜 큰일나요!
This could be a big problem!
운 좋으면 아무 일도 안 일어나고요. 운 나쁘면 진짜 어떤 일이 일어날지도 모르고요.
If you are lucky, nothing will happen. If you are unlucky, you don’t know what will happen to you
생각보다 대학교 내에서 이런 안 좋은 일들도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Very bad things happen in universities too, more than you think
그리고 절대절대절대절대절대 남 욕 하지 마세요!
And do not talk badly about others, never ever!
그런 거 다 돌고 돌아서 다 본인 귀에 들어가고, 당사자 귀에 들어가고
Even if you talk from their behind, they will eventually find out
그게 싸움이 되고 나의 대학생활을 망칠 수도 있기 때문에 절대로 남 얘기 하지 마시고요.
That will turn into a fight and potentially ruin your university life. Never talk about others
그런 얘기를 하는 무리가 있다, 그런 사람이 있다 하면 동조도 하지 마세요, 여러분!
If a group of people talk badly of someone, don't join!
정말 사람을 조심하는 게 맞는 것 같아요.
I think you absolutely have to be careful of people
들어가서 너무 쉽게 사랑에 빠지지 마시고요ㅎ
Don't fall in love too easily when you start lol
내 시간 내가 잘 챙겨야되고, 나를 챙겨주는 사람은 나밖에 없다고 진짜 생각하셔야 돼요.
You have to manage your own time well and know that you are the only person who can take care of you.
대학생활동안 이것만은 꼭 해라 or 이것만은 절대 하지마라 하는 게 있다면?
Things I must or musn’t do in university ?
이런 질문도 주셨는데, 음.. 제가 지금 딱 생각나는 건
I received this question as well. Hmm what I can think of right now…
전 대학교 생활 하면서 학교에서 정해둔 커리큘럼은 최대한 지키라고 말씀을 드리고 싶고요.
is that you should follow the curriculum of your university as much as possible
저처럼 대학을 오래 다니고 싶지 않다면ㅎ~
unless you want to be in university for a really long time like me lol~
그리고 시간을 짬짬이 잘 활용하는 방법을 배우셔야 돼요.
and you gotta learn how to use your time wisely
그래야 내가 듣고싶은 교양 신청해서 들으실 수 있고요.
That way, you can attend elective classes that you want
내가 하고싶은 대외활동이나 봉사활동도 하실 수 있고요.
and do extracurricular activities or volunteer works
전 그런 대외활동 많이 해보시는 것도 좋은 것 같아요.
I think doing a lot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is good
대외활동 하다가 진짜 의도치 않게 내가 하고싶은 일을 찾을 수도 있는 거고요.
You might accidentally find something you want to continue in the future from those activities.
그게 지금 없다고 해서 너무 마음 조급하게 먹지 마세요.
Don’t feel rushed because you don’t know what you want to do right now
졸업할 때까지 없는 사람도 많고요. 졸업 하고 취직해도 원하는 일을 못 찾는 사람들도 많고요.
Many people don’t find it till they graduate. Many people don’t find what they want to do even after they graduate and start working
그래서 전 일단 경험을 많이 해보는 게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I think having as many experiences as possible is very important
하지 말라고 하는 건.. cc?ㅎ 이것도 친구한테 전화해서 한 번 물어볼까요?
What you mustn’t do? Dating someone from your course? Should I call and ask my friend again?
받을지 모르겠..
I don’t know if she would answer..
엥? 왜 꺼져있지? 전화기 꺼져있네요~
Huh? Why is it off? Her phone’s off~
하지 말라는 건 cc랑 과음! 술자리 너무 많이 가지 마세요..
What you shouldn't do is to date within the same course and over drinking alcohol! Don’t go to drinking parties too much
대학교 술자리 도움되는 자리 하나도 없다고 생각하고요. 저는!
I believe that no drinking parties are worthy in university!
돈만 많이 쓰고 몸만 축나고, 내 시간만 버리게 되는 자리라고 생각합니다.
It’s costly, not good for your health and waste of your time
뭐 노는 거 좋아하시면 친구들끼리 가볍게 자리 가지고 하는 그런 건 괜찮은데
Well, if you like partying, maybe you can have a small party with your friends
너무 많이 가지 마세요..
but don’t attend too many…
1학년이면 앞뒤 생각 안 하고 놀아라 vs 지금부터라도 꾸준히 알바해라
If you are in the first year should you; have fun as if tomorrow won't come vs start a part time work from now
여러분, 1학년 때 놀 수 있을 만큼 다 놀아라고 하는 건 전 개인적으로
In my opinion, ‘have fun as much as you can in the first year’
내가 챙겨야 할 건 챙겨가면서 놀아라는 말로 생각을 하거든요.
means have fun after you've fulfilled your responsibilities
공부 해야되는 거, 학점 따야되는 거, 시험 봐야되는 거 이런 거 챙길 거 무조건 다 챙기셔야 되고요.
Study what you gotta study, get the marks you need, attend exams. You need to do all these things first
그렇게 했을 때 남는 시간에 노는거지, 1학년이라고 아무것도 안 하고 놀면 안 돼요. 여러분!
Then have fun in your spare time. Don’t just have fun without doing anything just because it’s your first year !
노는 건 휴학 하고도 놀 수 있고요. 1학년 때만 즐길 수 있는 것도 있긴 하겠지만
You can have fun during a study break. I guess there are certain things that you can only enjoy in your first year
그 즐길 건 즐기되, 내가 해야되는 일들은 꼭 하고 노시라..! 아니면 나중에 남는 건 후회뿐이다.
Do enjoy, but do what you have to do first…! Otherwise, you will regret later
1학년 때 알았으면 좋았을걸 하는 유용한 정보나 팁?
Useful info or tips that you wish you had known in your first year?
장학금 주는 기준이랑, 교환학생 같은 거 갈 수 있는 어학 성적,
Conditions of scholarships, language proficiency level needed for exchange student programs
학점 기준 같은 것들을 좀 명확하게 알고 있으면
and marking criterias. If you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those
내가 학점 관리를 하거나 관련된 것들을 준비하는 데 도움이 많이 되거든요.
It will help you manage your academic records and prepare for related tasks
그걸 아예 모르고 막연하게 하고싶다고 생각하는 거랑,
Vaguely wanting to do something without knowing those conditions and criterias
그런 기준들을 잘 알고 있는 거랑은 아주 차이가 크기 때문에
Versus clearly knowing these conditions are very different
이런 정보들을 많이 알고 있는 게 중요하고요.
It’s important to know these information
마찬가지로 이런 것들은 학교 홈페이지나 아니면 에타 아시죠?
Also, these things can be found on your university website or .. do you know ET?
‘에브리타임’이라는 어플에서 학교 인증하면 학교 게시판 같은 거 다 볼 수 있거든요.
It’s an app called ‘Every Time’. You can have an access to your university board once you prove that you are enrolled
그런 데에도 (정보가) 은근히 많기 때문에 그런 걸 잘 활용하시는 게 중요하다.
You can find a surprising amount of info there. It’s important to utilize it wisely
그리고 교수님한테도 많이 물어보세요!
Also, ask your professors!
이어지는 질문으로, 교수님이랑 친해지면
Which leads to the next question. If you get close to professors,
취업자리나 관련 정보를 많이 알려주시는지에 대한 질문도 있었는데 그렇습니다!
will they tell you job vacancies or relevant information? Yes!
아무래도 교수님이랑 친하면 그런 정보도 많이 알려주시고,
If you are close to your professors, they will share those info with you
실제로 인턴 같은 자리에 꽂아주시는 경우도 많고요.
They often get an internship for you too
공모전이나 대회 같은 거 나가보라고 제안을 해주시는 경우도 많고
They might suggest you to go on a contest or a competition
내가 교수님이랑 안 친한 것 보단 전 친한 게 낫다고 생각합니다.
I think it’s better to be close to them than not to be close to them
고등학교 때 까지 야자하다가 갑자기 비어버린 저녁시간은 뭘 하면서 지내는지?
What do you do in the sudden free time at night that you used to use for night study in high school?
너무 할 일이 많아서 시간이 부족한데요, 항상?
There are so many things to do that I’m always running out on time
저같은 경우에는 일단 친구를 진짜 많이 만난 것 같아요.
Personally, I met friends very often
친구들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졸업이 가까워질수록, 직장생활 하고 사회생활 할수록
As you continue your study, the closer you get to the graduation, as you start working and start a career
더 만날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들어요, 여러분!
You will have less and less time to see your friends!
그래서 친구는 전 만날 수 있는 여건이 되는 한 많이 만나두는 게 좋다고 생각하고요.
I think it’s better to meet your friends as much as you can while you have time
그 와중에 내가 하고싶은 대외활동 같은 걸 찾아보는 시간도 필요하잖아요?
Also, you need time to fi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at you are interested in
이 시간에 할 일은 엄청 많아요.
There are so many things to do in this time
대학 가면 유정선배 없겠죠?
There’s no Yoo Jung in university, is there?
네.
NOPE
방학때 뭘 하면 좋을지? 내가 뭐 하고 싶은지 고민 많이 해보시고요.
Take time to think about what you want to do and what should you do during the holidays
여러가지 활동들 그냥 닥치는대로 다 해보세요.
Just do everything you can experience
진짜 사람 일 어떻게 될지 모르거든요.
You never know what’s going to happen in the future
저 유튜브 시작한 것도 방학때 ‘뭐하지? 그냥 방학을 흘려보내기 싫은데?’ 이래서
I started Youtube because I thought ‘What should I do during the break? I don’t want to waste it’
대외활동 찾아보다가 ‘유튜브 크리에이터’라는 게 있는 걸 처음 알게 됐고,
I was looking for something to do outside university and discovered ‘Youtube creators’
그래서 유튜브 시작했거든요.
That’s how I started it
성과가 어떻든 실패할까봐 고민하거나 그렇게 하지 마시고요.
Don’t worry that you might fail
뭐 대학생인데 좀 실패하면 어떄요? 대외활동에서 실패해봤자 얼마나 큰 실패겠어요.
What if you fail? You are a university student. Failing outside of university can’t be a big deal.
다 해보세요, 그냥! 다양하게 경험해보시고 많은 일들 겪어보시고요.
Try everything! Try various things, experience many things
분명히 또 다른 길이 보이게 되거든요. 이건 진짜예요.
I’m sure you will find a new way. For real.
대학 다니면서 돈 모으고 싶은데 특별한 방법이 있을지?
I want to save money while studying at university. Any special tips?
대학교 다니면서 돈을 모으고 싶다면 경제 공부를 하세요.
If you want to save money while studying at university, learn economy
전 경제가 어떻게 돌아가고 돈의 흐름이 어떻게 흘러가는지 이런 걸
I think it’s so important to know the flow of money and the way economy works
대학생 때 아는 게 진짜 중요하다고 생각하거든요.
while you are in university
내가 지출은 얼마만큼 하고, 수입은 어느정도가 있고,
How much do I spend and how much do I earn?
내 돈, 자금의 흐름은 어떻고 이런 것들을 미리 볼 줄 알아야 되고
How does my money flow? You need to be able to foresee that
그래야 내가 어느정도를 저축을 할 수 있고, 어느 정도의 씨드를 확보할 수 있는지가 나오거든요.
That way, you can figure out how much you can save and how much seed money you can save up
그걸 바탕으로 투자 공부 하시고요. 내가 직접 투자하지 않더라도
Study investment based on that. Even if you won’t make a direct investment,
이런 지식을 갖고 있는 건 정말 중요하고 인생에 큰 도움이 되기 때문에
It’s very important to have that knowledge. This will help you enormously in life
무조건 돈을 한 푼이라도 아껴서 내가 목돈을 만들어야지! 라는 생각 먼저 하시기 전에
Before planning to save a large sum of money without a specific goal
이런 공부를 많이 하시는 것도 전 추천합니다.
I recommend that you study these things
대학생활에 도움 되는 앱이나 꿀템이 있다면?
Do you have any tips to share or know of a handy app for university students?
일단 아까 말했던 ‘에브리타임’이라는 어플은 너무 필수고요.
The app ‘Every Time’ I mentioned earlier is a must
그리고 전 시간관리 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Timeblocks’라는 일정관리 어플 추천합니다.
Also, time management is important for me so I recommend a schedule app called ‘Timeblocks’
이건 내가 카테고리별로 나눠서 일정을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한 눈에 보기도 굉장히 편하고요.
You can navigate everything at a glance because you can manage your schedule by category
이전에 어떤 일정 있었는지 전체적으로 검색도 쫙 가능해서 그것도 편하고요.
There’s a search option for schedule as well. It’s very convenient
할 일 체크리스트도 이 안에서 다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전 몇 년 째 이 어플을 쓰면서
You can also create a to-do checklist. I’ve been using this app for few years
모든 시간관리, 일정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to manage my time and schedule
그리고 세 번째로 학교 홈페이지 즐겨찾기 꼭 하기!
and thirdly, make sure you bookmark your university website!
옷 어떻게 입고 다니는지, 룩북 같은 거, 데일리룩 찍어달라고 하신 분들도 계셨는데
Someone asked me to film a daily lookbook and show what kind of clothes I wear to university
이건 제가 나중에 개강하면 보여드릴게요.
I will show you when the semester starts
대학생이 맥북 사용하기 어떤지, 추천하는 노트북이 있는지도 많이 물어보셨는데
I also received many questions on laptop recommendations / how Macbook is for university students
전 입학하고 한 2-3년 가까이는 삼성 제품을 썼고요.
I used Samsung for the first 2~3 years of university
그 다음부터는 쭉 맥북을 쓰고 있어요. 왜냐하면 전 편집을 해야되고
Then I switched to Macbook and I’ve been sticking to it because I have edit videos
포토샵 작업도 하고 일러스트 작업도 하기 때문에
work on photoshop and illustrations
이런 디자인 쪽이나 영상 같은 일을 하시는 분이라면 전 맥북을 추천하고요.
If you are in design or video making, I recommend Macbook
그게 아니라 난 노트북을 그냥 레포트용으로, 과제용으로만 쓸거다 하시는 분들은
If you only need your laptop to write a report and do assessments,
굳이 맥북이 필요할까 싶기는 해요.
I don’t think Macbook is necessary
맥북에서도 한글파일 다. 열 수 있고요. 다 가능하긴 한데..
You can open Hangeul file on Macbook as well. It works but…
특히 공동인증서라든지 이런 것들은 맥 OS에서는 지원이 안 되기 때문에
Mac OS doesn’t support public certificates and stuff
은행 업무까지도 한번에 다 보시기에는 전 LG나 삼성 제품이 더 낫지 않을까 생각은 합니다.
I think LG or Samsung would be better if you need it for banking too
근데 또 맥북은 약간 간지잖아요ㅎ 전 맥북 쓰긴 해요!
But the Macbook looks cool. I use a Macbook myself!
그런 은행 업무같은 것들은 다 모바일로 보는 편이고요.
I do all my banking on my phone
전 맥북 쓰면서도 학교 과제 같은 거나 강의 들을 때 크게 불편한 점은 못 느꼈어요.
Working on assessments or listening to lectures weren’t hard on Macbook
아이패드랑 노트북 중 선택해야 한다면 뭘 더 추천하시나요?
If I have to choose one between an iPad and a laptop, what do you recommend?
전 무조건 노트북이요!
Laptop for sure!
들고 다닐 때는 좀 무거울 순 있는데, 노트북이 확실히 여러가지 작업을 하기에
It can be heavy to carry around but laptops are definitely more convenient
편하긴 하더라고요, 전. 개인적으로!
In order to work on multiple tasks. In my opinion!
근데 본인이 손에 아이패드가 더 익어있고, 필기 같은 거 하면서 강의 들을 때 필요하다 하시면
But if you are more comfortable with an iPad and need one for making notes in lectures,
전 아이패드를 사는 것도 나쁘진 않다고 생각하는데
Getting an iPad is not a bad idea
전 제가 손으로 써야하는 필기가 있으면 그냥 노트를 쓰는 편이에요.
But if I have to handwrite a note, I just do it on a paper
아이패드에 쓰는 건 저랑 좀 안 맞아가지고 전 노트북을 추천하긴 합니다.
iPad wasn't suited for me. I recommend a laptop
휴학 몇 년 까지 할 수 있는지는 학교마다 다르긴 한데,
Each universities have different limits for study breaks
보통 남자같은 경우엔 군휴학이 있기 때문에 *2-3년정도 좀 더 휴학을 할 수 있는 걸로 알고있고요.
But usually male students get extra 2-3 years of break because of the military service
저희 학교는 일반 학생들은 3년까지 휴학을 할 수 있습니다.
At my university, students can generally take a study break for up to 3 years
3년이라고 하면 6학기가 되겠죠?
3 years mean 6 semesters
근데 이건 학교마다 달라서 2년까지만 휴학을 할 수 있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But it depends on the universities. Some only allows 2 years
학교 홈페이지에서 잘 찾아보시길 바랄게요.
Please check your university website carefully
대학생활에서 제일 중요하게 생각하는 건?
Wha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university life in your opinion?
내가 이 학교에서 얻어갈 수 있는 모든 것들을 다 뽑아먹으세요, 여러분!
Get the most out of your university! Take everything you can!
수업은 당연하고요. 장학금도 내가 탈 수 있는 거 찾아보면 생각보다 많거든요?
Of course the classes. Also, there are more scholarships available than you think if you look closely
그런 거 다 받아 먹으시고요. 친구들 관계에 너무 연연하지 마시되 주변에 있는 사람들 잘 챙겨주세요.
Take all of that. Don't get too stressed about relationships with friends but do look after the people around you
학교 안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너무 일희일비 하지 마시고요.
Don't react too emotionally to every single event that happens at university
대학교는 어쨌든 내가 사회로 나가기 위한 발판이 되는 거라고 전 생각하기 때문에
I think university is a stepping stone for getting in to a society
내가 사회에 나가서 필요한 것들을 정말 만반의 준비를 마친다는 생각으로 대학 열심히 다니세요.
Put effort into your university life, to get fully prepared before going into real society
노는 것도 열심히 노시고요. 친구들도 열심히 만나시고 공부도 진짜 열심히 하시고요.
Play hard, meet your friends a lot and study really, really hard
학점이랑 어학성적, 자격증도 할 수 있는대로 다 만들어 놓으시고요.
Get good academic records including languages, and get as many licenses as possible
도움 안 되는 거 하나도 없거든요.
Nothing is useless
그리고 그렇게 노력해본 사람들은 사회에 나와서도 본인이 어떤 노력을 해야되는지 알고 있고
The people who have tried hard in the past know how to try hard at work as well
그 방향이 딱 정해져 있더라고요.
There is a direction
대학교에서 그런 것들 미리 연습하는 과정이라 생각하시고
Think university as a trial for these things
즐거운 대학생활 하시길 바라겠습니다.
I hope you enjoy your university life
또 사람마다 너무너무 환경이 다르고 케이스가 다 다르기 때문에
Everyone is from different environments and it's all case by case
제가 얘기한 게 정답이라고 말 할 순 없어요.
So I can't say my answer is the only answer
그냥 어느정도 참고만 하시고요. 또 직접 경험해보시면 다를 거예요, 아마!
It's just a reference. It will probably be different if you experience it yourself!
제가 얘기했던 것들이랑.
It will be different to my stories
아, 그냥 대충 이 사람은 이렇게 대학생활 했구나 정도로만 알아주시고요.
It's just how things were for me, for your reference.
여러분, 즐거운 대학생활 하시길 바라겠습니다. 화이팅!
Enjoy your university life! Good luck!
오래 기다리셨습니다 >< !
전공 살리는 사람 많은지? 뭐 살리는 사람도 있고 안 살리는 사람도 있겠죠?
Do many people start a career based on their major? I guess some do, some don’t
요즘에는 전공 안 살리는 사람이 훨씬 많은 것 같아요.
I think more people don’t use their degree these days
제 주변에만 해도 전공 안 살리는 사람들 진짜 많고요.
So many people around me didn’t pursue a career related to their major
문과 학과 다니다가 갑자기 졸업하고 혼자 공부해서 개발자로 취직한 친구들도 있고요.
I have a friend who majored in liberal arts then started a career as a developer after studying it on their own
생각보다 그런 경우가 진짜 많으니까
it happens more than you think
‘전공을 무조건 살려야된다’ 라는 거에 크게 강박은 안 가지셨으면 좋겠어요.
Please don’t think ‘I have to use my degree’
내가 대학교에서 배운 건 뭐가 됐든간에 나중에 나한테 다 좋은 밑바탕이 되는 거기 때문에
Whatever you learnt from a university will build a good foundation for you later.
전공이 좀 안 맞더라도 배울 때 열심히 배워두시면 분명히 좋게 쓰일 날이 올 겁니다.
Though your major isn’t too suited for you, if you study hard, I’m sure it will come in handy one day
혼자 다녀도 괜찮은지? 혼자 잘 다니는 꿀팁!
Is it ok to be a loner? How can you be alone well?
전 진짜 혼자 다니거든요. 졸업한 동기들도 많고, 전 혼자 다니는 거 아무렇지도 않았어요!
I am a loner. Many of my friends have graduated. Being alone doesn’t bother me!
어차피 들어갈 땐 다 똑같이 들어가서 동기들이 중요하고, 같이 다니는 친구들이 중요하고
Everyone starts at the same time so your year group is important. Your friends are important
그럴 순 있지만 각자 휴학도 하고, 일도 중간중간 하고
but on the way, some people will take a study break, some will work
해외에 어학연수나 교환학생을 갔다온다거나 인턴쉽에 참여한다거나
some will go study abroad and go on an exchange program, or do an internship
이런 식으로 하다보면 각자 다 찢어지게 되어있거든요.
In the end, everyone goes their own way
무조건 들어갔던 동기들하고 똑같이 졸업할 수가 없고요.
You can’t always graduate at the same time as the people who started with you
그리고 다른 사람들한테 맞춰서 학교 다니지 마세요.
Also, don’t try to match your university life to others
그냥 내가 원할 때 휴학하고, 원할 때 학교 다니고 내가 원하는 수업 듣고
Take a study break when you want to, go back when you want to, enrol to the classes you want
그렇게 하시는 게 훨씬 좋습니다.
That’s much better
혼자 다니는 사람 진짜 많고요. 대학에. 혼자 다녀도 아무도 ‘어머, 쟤 뭐야..’
Many people are on their own at university. No one thinks ‘Oh, what’s wrong with them?’
‘혼자 다니나봐.. 친구 없나봐.. 너무 불쌍해ㅠ’
‘They are a loner… maybe they don’t have any friends… how pity’
‘어떻게 학식을 혼자 먹고 있지..?’ 이러는 사람 한 명도 없어요. 진짜! 아무도 신경 안 쓰거든요, 남.
‘How can they eat on their own?’ Seriously! No one cares
전 오히려 혼자 다니는 게 편해가지고 일부러 혼자 다닙니다.
I’m a loner because that’s more comfortable for me
내 할 일만 잘 하면 되죠. 혼자 다니는 게 뭐 대수예요?
I just gotta do my work well. What’s wrong with being a loner?
입학 전부터 친목하는 사람들도 있던데, 입학해서 동기들과 친해질 수 있을까요?
Some people start making friends even before university starts. Will I be able to make friends with my year group when we start?
전 솔직히 입학도 하기 전에, 직접 만나기도 전에 단톡에서 막 시끌시끌하고
Honestly, I don’t prefer talking a lot and being friends with others on a group chat
말 많이 하고 친해지는 거 그렇게 선호하는 편은 아니거든요.
before university starts, before I meet them in person
물론 그렇게 해서 대학교 내내 엄청 친하게 잘 붙어다니는 친구들도 있고요.
Of course some people get close like that and get along for the entire duration of their university course
근데 전 그런 편은 아니었어서.. 그래도 대학교 들어가서 만나면 다 어느정도 친해지게 되어있고
but I wasn't like that… Once your university starts, everyone will get along somehow
그 중에서도 진짜 친한 친구를 만들수도 있는 거고요.
Maybe you will find a real friend
시작하기도 전에 남들은 다 친한 것 같고 그렇다고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Don’t worry too much because everyone seems to be close even before the course started
특히 단톡이나 온라인에서는 친해보여도 실제론 안 그런 경우도 많고요.
Though they look close online or on group chat, they often not in real life
온라인상으론 엄청 친하고, 좋은 애인 것 같았는데 실제로 만났을 때 좀 멀어지는 경우도 종종 있고요.
In real life, you may not get along with a person who seemed nice and became close to you online. That happens too
너무 이런 친목에 연연하지 마세요. 여러분!
Don’t stress too much about friendship!
현역이랑 나이 차이 나는 게 고민인데 동기중에 n수생 있으면 불편해하는지?
I’m worried that I’m much older than other students.Will other students think I’m uncomfortable because I’ve repeated a few years?
음.. 저도 입학했을 때 언니들도 있었고요. 나이 많은 사람들도 있긴 했는데
Hmmm.. When I started, some were older than me, some were significantly older
전 그렇게 신경쓰이지 않았어요. 어차피 동기고 몇 학번 차이나는 선배 이런 것도 아닌데
It didn't bother me. We were in the same group. They weren’t senior students or anything
전 크게 신경 안 썼던 것 같아요. 다른 친구들도 그냥 엄청 다들 편하게 서로서로 대하고..
It didn’t bother me that much. Other friends all treated them comfortably
뭐 n수생, 재수생, 편입생이라고 해서 ‘뭐야.. 나이 겁나 많아’ 이렇게 하진 않으니까 걱정 안 하셔도 됩니다.
Even if you are repeated or transfered, no one will say ‘What the heck, you are so old’. Don’t worry
그리고 실제로 재수생, n수생 대학교에 얼마나 많은데요.
There are so many students who have repeated a year or a few
친구 사귀는 방법에 대해서 걱정하시는 분들이 진짜 많더라고요.
So many people worried about how to make friends
근데 말씀드렸다시피 친해질 사람들은 다 친해지게 되어있고요.
Like I said, you will become good friends if you are meant to be
입학 하고 나서 다 서로 낯설고 서먹하기 때문에 그냥 먼저 말 걸고 먼저 다가가고
At first, everyone will be awkward and shy. It’s totally fine to start a conversation first
이렇게 하셔도 아무 문제 없고, 오히려 그렇게 서로 먼저 다가가주면 되게 좋아할 거예요.
actually, they will like it if you approach them first.
전 먼저 다가가는 편은 아니었는데, 그렇게 또 다가와준 친구들 있었고요.
I wasn’t like that but some of my friends approached me first
대학 친구는 찐친이 될 수 없다 이런 말 진짜냐고 물어보셨는데 이것도 사람마다 너무 다르죠!
Someone asked me whether it’s true that you can not make a real friend at university. It depends!
전 연락하는 대학교 친구 3-4명, 이 중에서도 주기적으로 만나는 친구 딱 1-2명 정도밖에 없어요.
I am still in touch with 3~4 of my university friends. I only meet 1~2 of them regularly
대학교 가서 친구 사귀는 게 나의 대학 라이프에 엄청난 영향을 끼치는 건 아니고요.
Making a friends at university doesn’t affect your university life hugely
선배들이랑 밥약 많이 하는지, 밥약 해도 되는지!
Do senior students often buy junior students food? Can you do that?
일단 저는 밥 얻어먹은 적이…
I got treated….
기억이 안 나는 거 보면 많지 않았던 것 같고요. (1-2번 정도..?)
I can’t remember, I guess that didn’t happen a lot (Maybe 1-2 times)
그리고 제가 선배들한테 사랑받는 후배는 아니었던 것 같아요.
I guess I didn’t get loved by the senior students that much
전 실습이 많은 과이다보니, 선배들 촬영할 때 촬영장 가서 스탭으로 돕기도 하고
My course is full of practical lessons. Juniors would sometimes help senior students at a filming site as a staff
이렇게 하면서 원래 선배들이랑 친해지거든요. 저희 과는!
That’s how you get close to the senior students in our course!
전 입학했을 때 영화에 큰 관심도 없었고, 촬영장 가는 거 별로 좋아하지도 않았고
When I first started, I wasn’t that interested in movies. I didn’t like going to filming sites
내가 이쪽 전공을 살릴거란 생각도 딱히 없었고..
I didn’t think I’d pursue my career in this industry
그래서 처음에 선배들이 와서 도와줄래? 올래? 라고 했을 때 거절을 계속 했거든요.
So when they asked me to help, I rejected continuously
좀 싫었을 거예요, 제가! 너무 거절을 많이 해가지고..
They probably hated me because I rejected them so many times!!
몇 번 거절하니까 안 부르시더라고요.
They stopped asking me after a few rejection
근데 내가 선배들이랑 좀 친해지고 싶고 그러면 그냥 같이 만나서 밥도 먹고 하는 거 완전 상관없죠!
If you want to be close to your seniors, it’s totally fine to meet them and eat together
저도 같은 과 후배가 밥 사달라 하면 사줄 것 같은데요?
I’d pay for food is a junior student from the same course asked me to
아, 왜 나한테 밥 사달라 하는거야.. 이렇게 하는 사람 잘 없지 않을까요?
Not many people will think ‘Ah, why would you ask me to pay?’
물론 과 특성따라 다르긴 하겠지만, 선배들이랑 친해지면 정보 같은 것도
I guess that will depend on the atmosphere of your course but if you get close to the seniors,
선배들이 더 먼저 알게 된 부분들이 있으니까 그런 면에서도 좋은 것 같고..
They might share the information they found out first with you.. That would be good
근데 또 너무 그런 거에 목 맬 필요는 없을 것 같아요.
but please don’t think that’s everything
대학 가면 남자친구 생기는지?
Will I get a boyfriend when I go to university?
어.. 뭐 생기는 사람도 있고 안 생기는 사람도 있고?
Um… some will, some won’t?
이렇게 질문 해주시는 게 다 너무 사람마다 달라서..
This question is… it all depends..
cc 괜찮은지도 많이 물어보셨는데, 전 개인적으로 cc는 추천하지 않습니다.
Many of you asked whether it’s alright to date someone from the same course. I don’t recommend it
특히 입학하고 나서 3월달에 cc가 되는 건 진짜 최악이거든요.
It’s particularly bad to be a couple in march after you started
둘이 잘 사귀면 괜찮은 거 아냐? 하다가도 일단 3월달에 입학 하자마자 cc가 되면요.
You might think ‘Isn’t it alright as long as you two get along’ but if you immediately become a couple in march,
다른 친구들을 사귈 기회가 상대적으로 떨어지고요. 특히 선배랑 cc가 됐을 때 굉장히 힘들 수가 있습니다.
you will have less chances to meet other friends. It can be particularly hard if you date your senior
전 cc는 완전 비추.. 노.
I do not recommend it at all… no..
같은 과는 아닌데 같은 대학 안의 타 단과대다. 그런 경우도 안 되나요?
What if they are not from the same course but within the same university? Still no?
그거야 여러분 마음이죠! 근데 어떻게 사귀든간에 전 3월달에 바로 cc 하지마라..
It’s up to you! But no matter how you date them, don’t be a couple in march
처음 봤는데 서로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좋은 모습만 서로에게 보여주고 싶지 않겠어요?
When you first meet someone, you don’t know about each other. You’d only want to show the good side of you
물론 전 cc 한 적 없고요. 그건 너무너무 잘 한 선택이라고 생각하고 있어요.
I have never dated anyone from the same course and I think that was a great decision
대학엔 정말 똑똑하고 수준 높은 사람들이 많은지?
Are there a lot of smart and sophisticated people in university?
근데 대학 뿐만 아니라 이건 어딜 가서도 그런 사람은 그렇고 안 그런 사람은 안 그런 거 아닐까요?
No matter where you are, there will always be sophisticated and not sophisticated people
여러분이 대학 가셔서 정말 똑똑하고 수준 높은 사람이 되세요!
You become the smart and sophisticated person at your university!
과팅 많이 들어오는지?
Are there many major-group blind date offers?
저 1학년때도 좀 있었던 것 같아요. 다른 대학교 애들이랑 연결해서 단체 미팅 같은 거 하고
There were a few in the first year. Someone organized a group blind date with students from another university
그런 거 있었는데 전 그런 자리는 한 번도 안 나갔고요.
I have never attended that
왜냐하면, 보통 같이 술 마시고 노는 그런 분위기라서..
because they usually drink and party together…
전 그런 거 별로 안 좋아해서 참석을 다 안 했거든요.
I’m not a huge fan of that so I never attended
근데 한번쯤 나가보는 것도 전 나쁘진 않을 것 같아요.
but I don’t think it’s a bad idea to attend
과팅 뭐 매번 들어오는 것도 아니고, 이건 1학년의 특권이라 생각하기 때문에..
The chance will not always be available. I think it’s a previlate of freshmen..
보통 1학년 때 이런 거 많이 하거든요. 저학년 때.
It usually happens in the first year.
한번쯤 경험해보는 것도 그것 나름대로의 추억이 되지 않을까, 적당한 선에서!
I think that experience could be a good memory, as long as you don’t cross the line!
대학교 가서도 무리짓는 사람들이 있는지.
Do people form a group in university?
어딜 가나 무리 짓는 사람들은 있죠. 그걸 크게 신경 쓸 필요는 없을 것 같아요.
There will always be people who form a group but there’s no need to care
학생회비 꼭 내야하는지? 학생회비는 등록금에 포함되는 내역이 아니고요.
Do I have to pay for the student council fee? It’s not included in your tuition fee
별도로 내가 엠티 가거나 모임 같은 거 하거나, 과에서 하는 행사 이런 것들 주최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을
That fee is to cover the cost for teambuilding, meetings, and events in your course !
학생회비에서 쓰는거거든요. 반드시 내야되는 건 아녜요!
It’s not compulsory
내가 근데 과에서 이런 엠티나 이런 거 다 갈 거고 과생활 다 누릴거다 하시면 내는 게 맞겠지만.
but if you are going to attend team buildings and enjoy university life with the people in your course, you should pay
나 그런 거 참여하지도 않는데 누가 학생회비 안 낸다고 뭐라하거나 강요한다면..
If someone complains or forces you to pay even though you never attend those events…
아주 나쁜 사람이에요ㅎ
That’s a very bad person
대신 내줄 것도 아니면서. 그쵸?
They won’t pay for you. Right?
휴학하고 할 만한 거 추천! 일단 전 휴학을 3년 가까이 했던 것 같고요.
Things to do during a study break! First of all, I took almost 3 years of study break
전 일 했어요.일! 휴학 하면서 그냥 논 적은 없었고요. 무조건 일을 했고
I worked! I didn’t just relax during a study break. I always worked
유튜브를 쭉 했기 때문에. 제가 영상 만드는 일이 너무 바쁘고 학교랑 병행하기가 너무 버겁다,
Because I was always on Youtube. Whenever making videos and studying at the same time
체력적으로 벅차다 했을 때 한 학기씩 휴학하고 이렇게 차곡차곡 휴학했기 때문에
became too busy and physically tiring, I took a break for a semester every now and then
휴학 하시고 전 알바를 다양하게 해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고요.
It’d be nice to take a break and do different part time jobs
대외활동 많이 경험해보는 거, 봉사활동 해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고
Experience a lot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maybe a volunteer work
아니면 짧게 인턴쉽 같은 걸 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Or a short internship would be nice too
굳이 일하거나 공부하지 않아도 내가 가고 싶었던 여행지에 가 볼 수도 있는 거고요.
You don’t have to work or study. Maybe you can travel to the place you wanted to go.
사실 사회에 나오고 취직하면 내 시간을 따로 빼서 여행을 간다는게 엄청나게 큰 챌린지가 되거든요.
It’s a huge challenge to take a leave to travel once you start working
그렇게 길게 쉴 수 있는 기간도 별로 없고요. 그것도 전 대학생만의 특권이라 생각해서..
You can rarely have a long break like that too. I think it’s a privilege for university students..
뭐 휴학하고 가는 것도 한 번 정도는 괜찮고, 방학때도 여행 많이 다니시라고 그렇게 말씀을 드립니다.
I guess traveling during a study break for once would be alright. I recommend that you travel a lot during a semester break
공모전, 자격증, 시험 어떻게 하면 좋을지..
What should I do with contests, licenses and exams?
스펙에 대한 압박 같은 것도 입학하기 전부터 많이 느끼시는 것 같더라고요.
Many people feel pressured to improve their resume even before they start university
근데 그냥 내가 관심있는 분야, 아니면 내가 재밌다고 느끼는 분야는 무조건 다양하게 도전을 해보세요.
Challenge a lot in the areas of your interest, in the areas that entertains you
그게 다 나의 기록이 되는 거고 스펙이 되는 거고요. 경험이 되는 거기 때문에!
That becomes your record, that will be on your resume because that’s your experiences!
그리고 어떤 경험을 하든 항상 흔적을 남겨야 돼요.
No matter what you experience, you always have to leave an evidence
수상 이력이 됐든 인증서가 됐든, 그런 것들을 꼭 문서화해서 기록을 남겨놓으시길 바랍니다.
It could be your award history or a certificate. Make sure you document everything
이런 것들이 다 도움이 되거든요.
They will all help in the future
그리고 자격증이나 시험 같은 것들은 보통 3학년 때부터 준비를 많이 하고요.
Most people start preparing for licenses and exams from the third year
왜냐하면 자격증도 종류따라 다르긴 하지만 유효기간이라는 게 있기 때문에,
Because I know it depends but most license are valid for certain time only,
보통 한 2-4년 이정도거든요. 보통 4학년 막학기 때 취준을 많이 하기 때문에
It’s usually 2-4 years. Usually people start a job hunting on the last semester of their 4th year
그 때 이상까지 좀 안전하게 만료가 되지 않으려면 보통은 3학년 끝나고,
to make sure your license doesn’t expire till then, people usually start after they finish the 3rd year
4학년 때 부터 취준을 많이 하죠. 그래서 1-3학년 때 학교에서 들으라는 수업 착실하게 다 듣고
and start job hunting in their 4th year. Attend all the lectures you are meant to take from 1st to 3rd year
최대한 학점을 많이 들어서 먼저 학점을 잘 채워놓고요. 그래야 4학년 때 내 시간이 많아지고
Take as many units as possible to fulfill it. That way, you will have more free time in your 4th year
학교에서 듣는 수업이 적어지면서 취준에 좀 더 집중을 할 수 있습니다.
With less lectures to take at university, you should be able to focus on job hunting more
우주공강 시간 잘 활용하는 방법!
How to utilise a big gap between timetables!
전 그렇게 했어요. 그날그날 교수님이 내주신 과제를 우주공강 시간에 다 한다는 생각을 하고
This is how I did it. I tried to finish the assessments I received that day during those break times
학교에서 다 끝내는 식으로 했고요. 만약 과제가 없다! 하면 집에 가서 편집을 한다거나..
I tried to finish it on campus. If there were no assessments, I went home to edit my videos…
전 자취를 해서 학교 근처에 살았거든요. 중간에 가서 밥 먹고 오기도 하고
Because I live alone, I lived near my university. I sometimes went home to eat something
그게 안 되면 노트북에 (할 거) 담아서 들고가서,
When I couldn’t, I would take things to work on my laptop
학교 카페나 이런 데 가서 중간에 또 내 할 일 하고 이렇게 시간을 보낸 것 같아요.
and worked on it at a campus cafe. That’s how I spent my time
근데 맨날 그렇게 하진 않았고, 가끔 친구랑 중간에 나가서
But I didn’t do that everyday. I would sometimes go out with my friends
밥 맛있는 거 먹고 좀 놀다 오기도 했고요. 시간 좀 널널하고 그럴 때는!
to have nice food and hang out. When I had lots of time to spare!
우주공강 보내는 방법은 굉장히 많아요! 항상 찾으면 할 일들은 생기기 때문에,
There are lots of ways to spend that gap! You can always find something to do
내가 진짜 할 일이 없다 그러면 그 시간에 다른 공부를 해도 좋고요.
If you really have nothing else to do, use that time to study something else
아니면 내가 하고 싶은 대외활동, 알바 이런 걸 좀 알아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아요.
Fi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at interest you or part time jobs. That could be good too
교수님마다 다르겠지만 평균적으로 수업하는 시간 얼마나 되는지?
I know it depends on professors, but how long is an average lecture time?
이것도 학교마다 조금씩 다를 순 있는데, 보통 많아도 3학점 정도로 이루어진 수업들이 많은데
This might be different for each universities but usually, a course weighs maximum 3 credits
그럼 그 학점이 그 수업 시간이라고 보시면 편할 것 같아요!
That refers to your lecture time
보통 2학점은 2시간, 3학점은 3시간 이런 식으로 산출을 많이 하긴 하는데 이게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고요.
Usually 2 credits are 2 hours, 3 credits are 3 hours but it’s not an absolute value
근데 보통 대학교 수업들은 한 번 수업하면 2-3시간은 기본으로 하는 것 같아요.
I think university lectures usually go on for 2~3 hours
제가 봤던 것 중에 좀 긴 수업은 진짜 전공, 프로젝트 하는 수업 이런 거 6시간 짜리도 있고 한데
One of the longest lecture I’ve seen was 6 hours, it was for a big project for my major
그걸 꽉 채워서 수업을 하시는 교수님들도 계시고요. 또 안 그런 분들도 계셔서
Some professors will utilize the allocated time fully and some won’t
이건 진짜 교수님따라 케바케! 달라요.
It depends on the professors! It’s different
시험공부 하는 방법?
How to study for exams?
그냥 저는 앞에 얘기했듯이, 과제는 미리 다 해놓고 그냥 수업시간에 교수님이 강조하셨던 거,
Like I said earlier, I’d finish all the assessments first and studied what the professor emphasized during lectures
반복해서 얘기 하셨던 거, 그 단락의 배웠던 거에서 큰 맥이라 그래야되나?
what they said repeatedly, and the main topic that I learnt from that chapter
그런 것들에서 파생된 것들까지 공부했습니다.
I studied the things that is derived from that topic too
그냥 고등하교 때 처럼 하시면 될 것 같아요.
Just do what you did in high school
그리고 보통 시험을 한 번 쳐보면, 중간, 기말 이렇게 치잖아요.
Usually there’s a mid-sem exam and a final exam
그럼 교수님의 스타일이라는 게 있거든요.
Each professors have their own style
내가 그걸 진짜 전혀 파악을 못 하겠다 싶으면 교수님한테 끊임없이 질문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순 있어요.
If you can’t analyze that at all, you can ask the professor endlessly. That could be a method too
교수님이랑 여러분, 친하게 지내세요! 교수님들 생각보다 그렇게 어려운 사람들 아니거든요.
Be close to your professors! They are not as hard to deal as you think
질문 많이 하고 이런 거 싫어하시는 교수님들 잘 없거든요, 사실.
Not many professors hate a student who asks a lot of questions
또 많이 물어보고 수업 열심히 듣고 하면 교수님도 사람인데 그런 학생들 얼마나 예쁘겠어요.
If you ask a lot of questions and focus on their lecture, they will like you. They are human too
하나라도 더 알려주고 싶고 가르쳐주고 싶고 그렇지 않겠어요?
Wouldn't they want to teach you more and more?
수업 들을 때 팁! 전 그게 제일 중요한 것 같아요.
A tip for lectures! I think this is the most important thing
첫 수업시간에 졸지 않고 처음부터 끝까지 좀 맑은 정신으로 깨어있는 거.
Stay wide awake on the very first lecture from the beginning to end
이게 은근히 어떤 수업을 들을 때 그 첫 시간을 어떻게 보내는지에 따라서
Depending on how you spend the very first lecture,
좀 전 그 한 학기가 결정이 되는 것 같더라고요.
how you spend that semester will change.
처음부터 막 졸고 수업시간에 집중 안 하고 딴짓하고 이러면
If you fall asleep, don’t focus, do other things in the first lecture
그 수업시간에는 그 뒤로는 계속 그렇게 하게 되는 경우를 정말 많이 봤고,
you will continue to be like that for the rest of the course. I’ve seen that many times.
저도 그런 적이 있었고 그렇기 때문에 아무리 지루하고 듣고 싶지 않은 수업이더라도
It has happened to me too. No matter how boring and uninteresting the lecture is,
내가 첫 시간을 잘 보내보자! 하는 그 마음가짐이 진짜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Spend that first lecture well! I think that mindset is very important
뭐 이게 항상 완벽하게 정비례를 하는 건 아니지만, 내 자리가 교수님한테 가까울수록
I know this is not always the case but I have this weird jinx….
내 성적도 좀 더 높은 스코어에 가까워진다는.. 저만의 그런 게(?) 있거든요.
The closer my seat is to the professor, the higher my grade will get
앞자리 다들 피하고 싶어하잖아요. 그래서 다들 뒤에 앉고 하는데
No one wants to sit at the front. People all want to sit at the back
내가 너무 앞자리는 부담스럽더라도 최소한 3번째 라인 안쪽으로는 많이 앉으려고 했던 것 같아요.
The front seat is too intimidating but I tried to sit at least within the first three rows
확실히 좀 앞에 앉아야 수업 집중도도 높아지고요.
Sitting at the front definitely helps you focus better
좀 딴 짓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줄어들잖아요. 교수님이랑 가까우니까!
Because you are close to the professor, you will have less chance to get distracted
그래서 수업에 좀 더 집중하게 되는 것 같아요.
It helps you focus better during a lecture
수강신청 실패하면 어떻게 하는지?
What happens when you fail the class enrolments?
시간표를 먼저 짤 때, 플랜 c까지 짜놓는 게 가장 좋아요.
When planning for a timetable, it’s the best to have up to plan C
a안, b안, c안 이렇게 세 가지를 짜놓고 a 먼저 시도하고 실패하면 b, 그 다음 c
Have plan A, B and C. If A fails, go for B, then go for C
이런 식으로 대안을 항상 마련해 놓는 게 중요하고요.
It’s important to have back up plans all the time
만약에 이거 다 실패했다! 그러면 진짜 빠르게 교수님한테 메일을 써야돼요.
If you fail all… you have to very quickly email your professors
아주 정중하게, 하지만 정말 간절하게!
Very politely but very desperately!
메일 형식 같은 것도 이제 막 대학교 입학한 친구들은 잘 모르는 경우도 많더라고요.
Freshmen often don’t know how to write a formal email
직장생활 하는 사람들도 메일 쓰는 거 잘 모르는 사람들도 많기 때문에
Even many people who work at a company don’t know how to write a formal email
그냥 형식은 간단하게 이런 식으로만 적어서 보내셔도 될 것 같고요.
The structure is simple. Just write like this
그리고 수강생이 너무 많지 않은 이상, 전공이라면 이렇게 빌면 웬만하면 넣어주십니다.
Unless there aren’t too many students, and if it’s a compulsory class for your major, they will let you in
그래서 은근히 그런 빌넣이 잘 통할 때가 많다.
Begging surprisingly works
제일 좋았던, 의미있었던 수업은?
What was the best/most meaningful lecture?
교양수업이 좀 기억에 남는 게 많은 것 같은데, 그 중에서도 ‘이미지메이킹’이라는 수업이 있었고요.
There are many elective lectures I remember. One of them is an ‘Image making’ class
그리고 ‘여성학’ 수업을 제가 옛날에 들었어요.
Also I attended ‘Women’s studies’ too
이 두 가지가 좀 좋았던 게, 이미지메이킹은 사람들 앞에서 스피치 하는 거 이런 것도 하거든요.
I liked these two because in the Image Making class, we did public speaking
퍼스널컬러 진단 이런 것도 하는데 말하기, 발표하는 거, 목소리 톤,
We also did personal color diagnosis. The professor taught me
언제 어디서 끊어서 읽고 숨을 쉬어야 되는지 이런 것들을 가르쳐주세요. 교수님이!
How to talk, how to announce, tone of the voice, where to stop and where to breathe!
그래서 전 그 수업 할 때 그런 것들 좀 처음으로 제대로 배워본 것 같고,
I learnt these things properly for the first time in that class
다른 사람 앞에서 발표하는 걸 연습할 수 있는 수업이라서
I could practice talking in front of people
처음엔 조금 부담스러웠는데 나중에 다 듣고 나서는 굉장히 저한테 많은 걸 남겼던 수업이 됐고요.
It was intimidating at first but I earned so many things when I finished
여성학도 마찬가지로 저에게 다양한 시각을 제공해줬다 그래야되나?
Women’s studies also broaden my perspectives
똑같은 문제를 바라볼때도 이전에는 단편적으로 봤다면,
I used to see a problem from one perspective
이 수업을 듣고 나서는 여러가지 시각으로 볼 수 있게 된 것 같아요. 어느정도는!
but after taking that class, I could see thing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To some extent!
그래서 좀 더 인권이라든지 이런 사회문제 같은 데 관심을 더 가지게 되는 계기도 됐고.
It became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social issues such as human rights
팀플하는데 친한 애들끼리 이미 조가 짜여있는 상황에선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When close friends have already formed groups, what should I do for a group assessment?
저도 이제 학교도 오래 다니고, 대학교 친구도 많이 없어가지고
I’ve been studying at university for long time so I don’t have many university friends left
웬만한 수업 다 혼자 듣고 아는 사람 하나도 없어요.
I attend most lectures on my own. I don’t know anyone
근데 이렇게 팀플을 간혹 교수님이 ‘너네 알아서 친한 애들끼리 조 짜서 와라’
이렇게 하는 경우도 종종 있거든요.
Sometimes, a professor might say ‘Form a group with your friends for a group assessment’
그럴 때는 내가 들어가고 싶은 조 있으면 그냥 그 사람한테 가서
If there’s a group that you want to join, just go to them
‘저.. 혹시 같은 조 하실래요?’ 이렇게 그냥 말 해도 돼요.
and ask if they would want to do it with me
아무렇지도 않아요. 그거!
You can just say that. That’s nothing!
‘어.. 저 그쪽이랑 같은 조 하기 싫은데 저리 가실래요?;’
이렇게 하는 사람들 잘 없거든요.
Not many people would say ‘Um.. I don’t want to be in the same group with you. Would you please go away?’
껴달라고 부탁하는 게 어렵다 하시는 분들은 그냥 교수님한테 얘기하세요!
If it’s hard to ask people, just tell the professor!
교수님, 제가 이 수업을 혼자 듣는데 아는 사람이 없어서 어느 조에 들어가야 되는지 모르겠다.
Tell them ‘I attend this lecture on my own. I don’t know anyone here so I don’t know which group to join’
교수님이 임의로 넣어주시거나 짜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하고 말씀드리면 해주세요. 또!
‘Could you please pick a group to put me in or organize groups?’ They will do that for you!
‘니가 알아서 해;’ 이렇게 하시는 교수님 없고.
No one will say ‘You do it yourself’
그리고 꼭 그렇게 남는 사람들이 있거든요. 나만 그런 거 아니거든요ㅎ
There will always be leftover students. You are not alone
그런 사람들끼리 조를 붙여주시기도 하고요.
They might gather these students to form a group
팀플 해야되는 수업인데 팀이 안 만들어질 일은 없으니까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There will be no occasion where you won’t be in a group for a group work. Don’t worry
편입이나 전과 준비하는 사람들 많은지?
Do many people prepare for transfer or change of major?
네! 많아요. 제가 생각했을 땐 전과보다는 편입이 좀 더 그 진입장벽이 높은 것 같긴 해요.
Yes! A lot. I think transfer is harder than changing your major
왜냐하면 학교를 바꾸는 거니까, 공부 해야 되는 것도 많고 시험 준비도 해야되고..
Because it’s changing your university. You have to study a lot and prepare for an exam..
전과도 물론 준비를 많이 해야 되고 성적도 어느정도 좋아야지 전과를 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지긴 하는데
Of course you have to prepare a lot for changing your major too. You will have a higher chance to get an approval with a good academic record.
전과는 그래도 학교 안에서 움직이는 거다 보니까 비교적 편입보다는 그 문턱이 살짝은 낮다 그래야되나?
But it’s happening within the university. I think the barrier is lower than a transfer
학과 들어왔는데 생각보다 너무 나랑 안 맞아서 진짜 못 다니겠다고 하시면 전과 하셔도 되죠!
If you think your major isn’t suited for you, unlike you expected, you can change your major!
제 주변에도 전과 한 사람들 좀 있었고요.
A few people around me have done that
그 친구들도 다 만족하면서 전과한 학과 잘 다니고 하더라고요.
They are all happy with their new major
팀플할 때 팀원이 무임승차 하면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지?
How can you deal with a member who doesn’t do anything for a group assessment?
저같은 경우에는 제가 거의 조장을 하거나, 피피티 만들기랑 발표 제가 다 하거나 이런 경우가 많았거든요.
In my case, I was often a group leader. I often made a PPT and did the presentation too
그래서 전 애초에 무임승차 할 기회를 안 주는 것 같아요.
I don’t give them a chance to be slack
역할을 무조건 줘요! 전 하나부터 열까지 어떻게 하는지 제가 다 가르쳐 준 적도 있거든요.
I always give them a role. Once, I even taught someone how to do things step by step
‘자료조사 여기서 이렇게 해오시고요. 이렇게 출처 남겨주시고 이런 내용들 위주로 찾아주시면 됩니다’
‘Search information from here like this, write references like this and focus on finding these info ‘
근데 그렇게 하나부터 열까지 다 알려줘도 제대로 안 해오는 친구들도 있긴 했거든요.
Some people still wouldn’t their job properly even if I teach them step by step
진짜 블로그 url, 링크만 딱 긁어와서 그것만 보내는 사람들도 있고 했는데
Someone only sent me a URL, link of a blog
그럼 저만 스트레스 받고 저만 제 할 일을 못 하기 때문에 그냥 시킬 수 있는 거 최대한 다 시키고,
That only stresses me out and stops me from doing my work. I make people do their work as much as possible
안 한다? 그럼 조원 평가 하거나 교수님한테 피드백 메일 쓰는 경우도 있거든요.
If they don’t participate, sometimes there’ a peer assessment or a feedback to a professor
그럴 땐 그냥 교수님한테 다 얘기합니다.
I would just tell the professor
근데 보통 그렇게 거의 내가 독박 쓰듯이 하는 팀플이 있으면 교수님도 다 아시거든요.
If only one member do everything for the group assessment, professors will know
저한텐 실제로, 딱 팀 만들어지고 다들 너무 적극적이지 않아서 제가 조장을 한 적이 있었는데,
One time, I had to be a leader of the group as no one else was active
그 때 교수님이 보시고는 ‘그래.. 니가 고생이 많다’ 라고 하셨어요.
When my professor saw that, they said ‘Yeah… I feel sorry for you’
교수님들도 다 아시기 때문에, (조원에 대해서) 너무 악담을 하고 이렇게까지 할 필요는 없고
They all know. You don’t have to talk bad things about your team member
그냥 각자 팀원들이 어떤 역할을 했고 어떤 기여를 했는지만 딱 적어서 보내도 교수님 다 아십니다!
Just write down which member did what, how they participated. Professors will know
그래서 너무 그거에 열 낼 필요는 없어요. 물론 화는 나겠지만.
There’s no need to get so angry over it, though it will make you angry
교수님 또 그 팀에서 열심히 하는 사람들 다 알아보십니다.
Professors can see who works hard in a team
장학금 받기 많이 힘든지?
Is it very hard to get a scholarship?
일단 국가장학금 있고, 학교에서 주는 교내장학금 있고요.
There are national scholarships, there are university scholarships from your university
그리고 학교 외에 외부 단체나 기관에서 주는 외부장학금, 이렇게 크게 세 가지가 있는데요.
and there are external scholarships from external groups or organizations.
국장은 아실거고, 교내장학금도 잘 찾아보면 여러 조건들에 부합하면 주는 경우도 많아요.
You’d know what a national scholarship is. For university scholarships, you can often get it if you qualify for different conditions
공모전 같은 데 수상을 한다든지, 성적이 좋다든지, 이전 학기에 비해서 성적이 얼마정도 올랐다든지..
Win something at a contest, get good marks, or improve your marks compared to the previous semester..
여러가지 이유로 많이 주거든요. 모의토익을 쳤는데 몇 점이 넘었다든지 이런 걸로!
They give out scholarships for many reasons. Such as passing certain marks at a practiceTOIEC exam
그런 것들은 학교 홈페이지에 꼼꼼하게 다 나와있으니까
You can find detailed information on your university website
항상 학교 홈페이지를 잘 확인을 하는 게 중요하고요.
It’s important to carefully check your university websites all the time
그리고 교외장학금 같은 경우에도 인터넷에 검색하면 그런 시에서 주는 장학금,
In terms of external scholarships, you can look online for a scholarship from your city,
아니면 종교시설이나 공공기관, 단체 이런데서도 주는 장학금이 진짜 많기 때문에
or from a religious group, a public institution, organizations.. There are so many options
그런 것들 생각보다 (조건이) 안 까다로운 장학금도 많거든요.
Some of them don’t have strict conditions
그런 거 잘 찾아보시면 장학금도 많이 타실 수 있을 것 같아요.
Look carefully to get lots of scholarships
근데 항상 베이스가 되는 건, 성적은 어느정도 만들어둬야지 받을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지겠죠?
But fundamentally, you will need a strong academic record to raise your chance.
온라인 강의의 장단점!
Pros and cons of online lectures?
장점은 그냥 다들 아시다시피 어디서든 들을 수 있다는 게 장점이고요.
Pros are… as you already know, you can listen to it from anywhere
단점은 아무래도 수업에 대한 집중도도 떨어지고요.
Cons are.. it’s hard to focus
교수님들도 물론 이런 온라인으로 하는 강의가 익숙하지 않다보니까
Also, professors are not used to these online lectures
진행이 원활하지 못한 부분이라든지, 의사소통이 잘 안 되는 부분들이 있을 것 같아요.
so it might not run smoothly. The communication might not be very smooth
근데 대면강의든 온라인 강의든 장단점은 다 있기 때문에
but both face-to-face and online lectures have pros and cons
크게 수업의 형태가 저의 학업에 영향을 미치진 않는 것 같아요.
A form of lecture doesn’t affect my study too much
가끔 가다가 이런 온라인 강의가 퀄리티가 진짜 떨어지는 경우도 조금 있긴 하거든요.
Some online lectures are very poor in quality
이전 수업자료 그대로 가지고 오시거나, 5-6년 전 자료로 수업하시고..
They might reuse the old resources that are 5~6 years old..
그런 교수님도 계시긴 한데 이건 온라인으로 하든 대면으로 하든
Some professors are like that but that’s just how they do their lectures
그런 분들은 그렇게 수업을 하시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Regardless of it being face to face or online
아, 이건 너무 귀여운 질문이네. 처음에 강의실 어떻게 찾아갔는지,
Ah, this is a cute question. How did you find your lecture room at first?
강의실에 신발 신고 들어가도 되는지?
Can you wear your shoes inside lecture rooms?
강의실은요. 수강신청 하면 수업개요 같은 게 쫙 적힌
Once you enrol to a class, you can find a lesson plan
수업계획서 온라인에서 다 볼 수 있게 되어있거든요.
with a summary of lessons online
거기에 보통 교수님 연구실 어딘지, 교수님 전화번호, 메일주소,
Usually you can find the location of your professor's office, their phone number, email address,
수업은 무슨 요일 몇 시에 어디서 하는지 다 적혀있거든요. 그런 거 보고 찾아가시면 되고요.
What time and which day your lesson takes place from there. Just look for that.
학교 지도 같은 것도 구글링 하면 너무 쉽게 찾아볼 수 있고, 학교 홈페이지에도 잘 안내가 되어있고
You can easily find a map of your campus on Google. Your university website will navigate you as well
보통 학교 정문 딱 들어가면 정문에 커다랗게 게시판에 학교 도면 같은 게, 지도가 붙어있는 경우가 많아요.
You can often find a map or a floorplan on a big board in front of the front gate.
그런 거 보고 그거 그냥 사진 한 번 찍어가지고 휴대폰에 넣고 다니면서
Take a photo of that, keep that in your phone
길 외우셔도 되고 초반엔 다 그렇게 하는 거랍니다! 신발 벗고 들어가는 거 아니고요.
to memorize the ways. That’s how it all starts! Don’t take off your shoes
그것도 있었어요. 화장실 갈 때 교수님한테 말하고 가야 되는지?
Someone even asked whether you need to get a permission from a professor to go to toilet
아뇨. 중간에 그냥 쓱 아무도 모르게 바람처럼 조용히 나갔다 갔다오시면 되고요.
No, you can just quietly go out without bothering anyone
근데 간혹 중간에 그렇게 나가는 거 싫어하는 교수님도 계셔서..
Some professors don’t like people leaving in the middle of their lecture
수업이 너무 길면 중간에 쉬는 시간 주시거든요. 그 때 갔다와도 되고,
They will give you a break in the middle of a long lecture. You can use that time
뭐 미리미리 갔다오는 게 제일 좋긴 하겠죠?
Well, it’d be the best to go beforehand
그리고 지각하면 교수님한테 미리 문자해야 되는지도 물어보셨는데
Someone asked me whether they have to send a message to their professor if they are going to be late.
문자 할 필요 없고요. 보통 10분까지는 지각으로 처리를 안 하시거든요.
You don’t have to. Usually, they won’t mark you as late for the first 10 minutes
지각하더라도 일단 들어가서 수업 들으시고 수업 끝나고 나서
Even if you are late, just go in and once the lecture is over,
교수님, 저 아까 들어왔는데 출석체크를 못 했던 것 같아서 확인 부탁드린다고 하면
Tell the professor that you’ve missed the roll mark and ask them to confirm it
그냥 체크 해주시는 경우도 있고요. 교수님 재량이니까 굳이 막
They will mark you. It’s up to them
‘교수님, 저 15분정도 늦을 것 같습니다ㅠㅠ’ 이렇게 문자 안 해도 됩니다.
so you don’t have to send them a message saying “I’m going to be late for 15 minutes” with a crying emoji
발표 안 떨면서 할 수 있는 방법!
How not to get nervous during a presentation
다 감자라고 생각하세요. 그리고 잘 할 필요 없어요.
Think everyone is a potato. Also, you don’t have to be good at it
잘 하려고 하지마세요. 발표! 처음부터 잘 하는 사람 없고요. 다 고만고만하게 발표 하고요.
Don’t try to do well! No one is good from the beginning. Everyone’s the same
대학교 와서 무슨 사업계획서 PT하는 것 처럼 엄청나게 발표하는 사람 잘 없어요. 생각보다!
Not many people can do a smooth presentation as if they are presenting a business plan at a university!
다 그냥 고만고만하니까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너무 잘해야지 라고 욕심부리면
They are all similar so don’t worry too much. If you try to do too well
또 오히려 긴장되고 떨려서 잘 못하는 경우도 많거든요.
That will make you nervous and anxious and you might ruin it
그냥 이렇게 저랑 얘기하듯이, 여러분은 얘기 안 하시지만.. 아무튼 편하게 얘기하시면 됩니다!
Talk just like how we are talking, well you aren’t talking but just talk comfortably
교수님과 나의 1:1 면담이라고 생각하세요. 그냥! 그게 더 떨리려나..?
Think of it as a 1:1 interview with your professor! Or will that make you even more nervous?
편하게 자연스럽게 하는 게 저는 제일 좋은 것 같더라고요.
I think being comfortable and natural is the best.
새내기 필수! 대학생활 완전정복 ssap가넝한 대학생활에 대한 모든 것
A must-watch for freshmen! Everything about university life- You can master it!
개강하기 전 꼭 봐야하는 대학생활에 대한 모든 것
A must-watch before the term starts - University Life 101
안녕하세요, 여러분!
Hi everyone!
오늘은 제가 얼마전에 인스타에서 질문을 받았던 대학생활 큐앤에이를 찍어보려고 하는데요.
I’m going to film a university Q&A. I collected questions on Instagram the other day
제가 질문을 정리를 쭉 해왔어요. 보이시려나 모르겠네?
I’ve written down all the questions here. I don’t know if you can see it
이렇게 종류별로 정리를 해가지고 왔거든요.
They are all divided in to categories
근데 전 질문이 별로 없을거라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진짜 많이 질문을 주시더라고요.
I didn’t think I would receive many questions but I received a lot more than I expected
대부분 겹치는 내용이 많아서, 제가 좀 정리를 해서 말씀을 드려볼게요.
Most of them were similar so I’m going to summarize them
수강신청 잘 하는 방법! 이것도 진짜 많이 물어보시던데
How to enrol into classes well! This was one of the common questions
사실 꿀팁이라고 할 것 까진 없고, 이건 거의 운이 크게 작용하는 것 같긴 해요.
I don’t have a good know-how to share. I think it’s mostly luck
저도 수강신청 몇 번 실패해본 사람으로서, 얼마나 내가 준비가 되어있느냐가 중요하거든요.
I have failed to enrol into classes a few times. What’s important is how well prepared you are
이건 학교마다 다를 수 있는데, 저희 학교 같은 경우에는 사파리보단 크롬 사용을 권장한다곤 하던데
This might be different depending on universities. Our university recommends Chrome over Safari
사실 제가 생각했을 땐 사파리 쓰든 크롬 쓰든 이런 거 상관없이 손 빠른 사람이 이겨요..
But in my opinion, it doesn’t matter if it’s Chrome or Safari. A faster person will win
그리고 학교마다 서버가 다르기 때문에..
Every university has a different server as well…
그냥 기본적인 거 말씀을 드리면,
I will just tell you the basics
저는 네이버 시계, 휴대폰 시계, 노트북 시계 이렇게 세 개를 한꺼번에 보거든요.
I check time on three devices at the same time. Naver, my phone and my laptop
그게 가끔씩 1초, 2초 이렇게 차이가 나는 게 있는데
Sometimes there’s a 1-2 seconds difference
그걸 보면서 제일 먼저 바뀌는 시계의 시간에 맞춰서 수강신청 딱 들어가서 하고요.
I start enrolling according to the fastest one
그리고 약간 전략적으로 하는 게 중요해요.
Also, you gotta be strategic
전공수업이 있는데 그건 내 학년에 들어야하는 수업이면 전공은 전 좀 뒤로 미뤄놓고
If you have a major course that you have to attend that specific year, that can wait
빡센 교양, 그런 걸 먼저 신청을 하거든요.
I enrol to the popular elective classes first
그런 교양은 다른 과 학생들이랑도 경쟁을 해야되기 때문에 그런 걸 우선으로 먼저 신청을 하고
Because for those classes, you have to compete with the students from other courses too so that’s gotta be your priority
전공은 사실 내가 그 학년이 들어야 되는 학년이면 ‘빌넣’이라고 하잖아요. 빌어서 넣기!
For your major, if you have to do that course that year, you can beg later to get in!
그렇게 빌면 넣어주는 경우도 있거든요.
They sometimes take you in if you beg
수강신청 하시기 전에 팝업 같은 거 잘 뜨는지 그런 것도 다 허용으로 바꿔놔야 하고.. 이런 것들?
Before enrolling, make sure pop ups work well. You gotta allow pop ups.. things like that.
에바님은 어떻게 학업과 일을 병행하고 있는지도 질문해주셨는데,
Someone asked how I am working and studying at the same time
전 유튜브 대학교 입학하고 1학년 여름방학 때부터 시작을 한 거거든요.
I started Youtube during the first summer break in the first year of university.
그래서 거의 대학생활 하는 내내 학교를 다니면서 유튜브를 하고 있는데,
so I have been on Youtube for almost entire duration of my university course
뭐든지 그때그때 해 놓으면 힘들지 않아요! 내가 힘든 이유는 미루기 때문이에요.
If you finish your task immediately, that’s not hard! You struggle because you procrastinate
과제 같은 거 미리 하거나, 수업 했던 거 복습하거나, 영상 같은 것도 미리 미리 찍어놓고
Finish your assessments in advance, do revisions on time. Make videos in advance
편집을 그때그때 해놓으면 사실 밀릴 일은 없거든요.
and edit straight away. Your tasks won’t stack up
막 시험기간에 엄청 학점 많이 듣고 이럴 때 조금 힘들긴 했는데,
I did struggle during an exam period when I was enrolled to many units
그래도 이제 원래 내가 해야 되는 일이니까 이거는. 제가 하기로 선택한거고.
but it’s the job I have to do. I chose to do it
진짜 죽을 것 같다! 까진 아니었어요.
so I didn’t suffer too much
몰라요. 또 시간 지나서 이렇게 얘기할 수 있는 것 같기도 하고.
Maybe I can say this because I’ve already past that time
그리고 학점 관리 잘 하는 꿀팁, 성적장학금 받는 방법 이런 것도 많이 물어보셨는데
Many people asked me how to manage your grade well, or how to get academic scholarships
유튜브랑 같이 병행을 히고 있잖아요. 또 실습이 점점 많아지면 이게 체력적으로도 힘이 딸리더라고요.
I am working on my Youtube at the same time. It gets physically tiring when there are more and more practical lessons
그런 것 때문에 실습 많이 들을 때 학점 관리를 사실 잘 하진 못했어요.
Because of that, I couldn’t get good marks when I had lots of practical lessons
좀 저학년 때는 그래도 전공 과목도 실습 많이 없고, 거의 이론 위주로
In the beginning of your course, you won't have lots of practical lessons, even your major. It’s more theory-based
교양도 내가 듣고싶은 거 신청해서 들을 수 있었기 때문에
Also you can choose the elective courses as you want
그 때는 성적장학금도 받고 그랬거든요. 근데 공부법이라고는 딱히 없어요.
I could get a scholarship when I first started. I didn’t have any special method for studying
사실 우리나라 입시를 겪어본 그런 사람들이라면 고등학교 때의 반 정도만 해도 과탑 먹을걸요?
Anyone who’s experienced the Korean university entrance exam can be a top student with less than half of effort you needed in high school
그니까 대학교 와도 열심히 하는 사람들은 진짜 열심히 하는데,
So diligent people continue to be diligent even in university
그렇지 않은 사람들도 있거든요. 대학에도! 고등학교도 그렇잖아요.
but some are not. Even in universities! It’s the same in high schools too
그래서 어딜 가든지 내가 있는 그 곳에서 나만 열심히 하면 전 잘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I think you can do well if you just work hard wherever you are
그리고 대학교는 시간 확보가 정말정말 중요하기 때문에 과제 같은 거 나오면
Also, saving time is extremely important in university. When you get an assessment,
무조건 미리미리 해두시는 게 좋긴 해요.
it’s better to finish it ahead
너무 당연한 얘기지만, 딱 과제 교수님이 주신 그 날에 바로 끝낸다는 생각으로 미리 해놓고
I know it’s obvious but try to finish it on the day you received that assessment
제출하기 전에 한 3번 정도 더 체크하면서 읽어보고 제출하면 그렇게 학점을 못 받지는 않을 거예요, 아마!
Check and read three more times before you submit it. Your grades won’t be too bad if you do that!
미리 과제같은 거 해놓으면 시험기간에 그 시간들이 확보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If you can finish your assessments in advance,you can save time for the exam period
시험공부 하는 데 활용을 하시면 되겠습니다.
Use that time to study for your exams
그리고 생각보다 어떻게 보면 불친절(?)한 교수님들이 좀 많이 계실 수도 있거든요.
You might find more unkind professors than you thought
이거 시험에 나오니까 적어두라고 하시는 교수님들도 계신데, 안 그러는 교수님들도 많이 계셔서
Some will tell you to make a note for exams but many won’t give you that hint
수업시간에는 최대한 그냥 놓치지 않고
During the lecture, try to capture everything
교수님이 수업하시는 내용들 잘 귀담아 들을 필요는 있는 것 같아요.
and pay attention to what the professor says
그리고 이건 또 학교마다 다를 수는 있는데 성적장학금 같은 경우에도
This might be different for every school. For academic scholarships,
무조건 내가 평점이 잘 나왔다고 해서 주는 게 아닐 수도 있거든요.
you might not get it just because your average grade is high
평점이 잘 나와도 내가 신청한 학점수가 좀 적다, 이러면 신청한 학점수가 더 많은데
Even if your grades are good, if you are taking less units,
나보다 평점이 조금 낮은 사람한테 장학금이 갈 수도 있는 거고요.
The student who has slightly lower grade than you but attends more classes might take it
많은 학점을 듣고 평점을 잘 받아도 전공의 비중이 너무 적다,
Even if you get good grades and enrolled to many units but only a few of them are related to your major,
그러면 다른 사람이 받을 수도 있는 거거든요.
someone else might take it.
그래서 일단 학점 많이 듣고, 전공 위주로 듣고,
So basically, they prioritizes someone who take lots of units, focus on their major
평점이 좋은 사람한테 우선순위가 간다고 생각하시면 편할 것 같아요. 뭐 학교마다 다르겠지만!
and receive good grades! Well, this might be different for every universities
또 요즘에는 절대평가도 많이 하잖아요, 비대면 수업 하면서.
They often do absolute evaluation on online learning these days
그래서 그런 것들 잘 노려봐도 좋을 것 같아요.
You could aim for that as well.
절대평가 하는 수업들은 내가 어느 기준에만 미치면
For absolute evaluation, as long as you reach certain standards,
성적을 잘 받을 수 있는 확률이 상대평가 보다는 크기 때문에.
you can get better grades. There’s higher chance than relative evaluation
빡센 시간표에 알바까지 잘 해낼 수 있을지 걱정이라고 하셨는데
Someone said they are worried whether they could manage their full timetable and part time work properly.
전 오히려 고정적으로 하는 일이 있으면,
I think if you have a regular work to do
이 일을 하기 위해서 내가 시간관리를 엄청 잘 해야된단 말이에요.
it makes you manage your time very carefully
저는 충분히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본인의 한계는 본인이 가장 잘 알잖아요.
I think it is definitely possible. You know your limits better than anyone else.
전 내가 100을 할 수 있는데 100을 다 하면 나중에 번아웃이 온다고 생각하거든요.
I think you burn out if you work on your 100% full capacity
전 항상 내가 100을 할 수 있으면 80 정도 까지만 해요.
If I can do 100, I only work up to 80
이게 어떻게 들릴지는 모르겠지만, 80이 제가 할 수 있는 최대의 효율이라고 생각하고
I don’t know how it sounds but I think 80 is the maximum efficiency for me
그렇게 했을 때 결과가 잘 나오면 너무 좋은거고, 결과가 잘 안 나오더라도 크게 실망하지 않고
If I get a good result from that, that’s great. If the result isn’t good, I won’t get too disappointed
그 다음으로 빨리 넘어갈 수 있는 힘이 생기는 것 같더라고요.
and I will have energy to quickly move on
전 제가 들일 수 있는 최소한의 노력으로 최대의 효율을 추구하는 편이라서 그렇게 하는데
I do that because I pursue the maximum efficiency from the minimum effort
또 나는 내가 100을 할 수 있으면 120의 공을 들이는 게 성과가 좋다 하시면 그렇게 하셔도 상관은 없겠죠?
but if you get better results when you go over your 100 limit and put in 120 effort, you can do that too
교환학생이나 어학연수 가 볼 생각은 안 하셨나요?
Have you ever considered going on an exchange student / study abroad program?
2학년 올라가는 겨울, 1월달 이 때 있죠?
In January, the winter before I moved on to the second year
그 때 제가 원래 교환학생 신청을 했었는데 붙은 거예요!
I applied for an exchange student program and it got approved!
그게 프랑스 파리에 있는 대학교였고, 그 학교에서 입학허가서도 받고
It was a university in Paris. I even received an approval for enrolment from that university
나갈때까지 한달정도 남았을 때, 그 때 파리에서 엄청 큰 테러가 일어난 거예요.
One month before my departure, a huge terrorist attack took place in Paris
그래서 못 갔거든요.
so I couldn’t go
근데 그런 게 있어요. 교환학생을 신청해서 붙었는데 내가 안 가겠다고 해서 안 가잖아요?
You know what? If you get an approval for an exchange program but choose not to go,
그럼 일정기간 동안 교환학생 신청을 할 수 없게 불이익이 주어지는 게 있거든요.
they disadvantage you by banning you from reapplying for certain time
만약 그 때 교환학생을 갔다면, 지금 유튜브를 안 하고 있을 수도 있겠죠?
If I had went, I might not be on Youtube right now
근데 좀 아깝긴 해요. (그 이후에) 가볼걸 하는 건 있었는데
It is a shame. I did want to go but…
그게 또 신청할 수 있는 기간 같은 게 정해져 있거든요.
The application isn’t always open
뭐 막학기에는 신청 못 한다 이런 것도 있고.. 성적기준이나 어학기준 같은 것들도 있어서
You can’t apply for it in your very last semester…. they will check your grades and language proficiency as well
그런 것들 잘 찾아보시고, 전 한번쯤은 갔다 오는 것도 나쁘진 않다고 생각해요.
Check these things carefully. I think going on a program like that for once isn’t a bad idea
만나는 사람들도 달라지고 세상을 보는 견해가 좀 달라지는 것 같더라고요.
You can meet different people. I think it changes the way you see the world too
갔다 온 친구들 얘기를 들어보면!
Based on the stories I heard from the friends who've done that!
고등학교 때 처럼 공부 경쟁이 있는지?
Do people study as competitively as in high school?
어느정도 있는 것 같아요. 특히 1학년 때 그게 좀 있는 것 같고..
I think they do… especially in the first year
(고학년이 될수록) 훌륭한 학점을 유지하는 게 갈수록 어려워지긴 하거든요. 전공이 많아질수록!
It gets harder and harder to maintain good marks as you become a senior student, the more major classes you take!
그래서 갈수록 견제를 하는 건 줄어들었던 것 같아요.
so there were less and less checking each other
그래도 성적장학금 노리거나 과탑같은 거 노리는 친구들 있으면
But the students who aim to get the first place or an academic scholarship
서로 은근히 견제 아닌 견제를 조금씩은 하는 것 같아요.
do quietly check each other a little bit
근데 그런 게 다 무슨 소용이겠어요. 그냥 내가 잘 하면 되는거지.
but that doesn't matter. You just gotta do well
레포트나 보고서 잘 쓰는 방법? 자료조사 잘 하는 방법!
How to write a good report? How to research well!
이건 근데 확실히 많이 써봐야 하는 것 같아요.
The only way is to practice a lot
근거자료가 많이 탄탄하게 뒷받침이 되면 좋겠죠?
You should have a lot of strong supporting evidences
제가 많이 썼던 사이트가 ‘RISS’라고, 논문 같은 거, 자료 같은 거 찾아볼 수 있는 사이트 하나 있고요.
I used to go on the website called RISS. You can look up resources and papers on here
그리고 국가전자도서관! 여기서도 학위논문이나 문헌 같은 것들 많이 볼 수 있거든요.
Also, the national electronic library ! You can find lots of thesis and documents here too
해외 논문 같은 것들도 많이 올라와있어서 이런 데도 찾아봤고,
You can find lots of overseas thesis here so I looked this website too
전 이렇게 두 가지 사이트를 크게 제일 많이 썼던 것 같아요.
These two websites are the ones I used the most
그리고 이것 뿐만 아니라 기사 같은 것도 전 많이 서치를 했고,
I often looked up articles too
이런 자료들 쓸 때 출처 표기하는 방법이 또 다 따로 있거든요.
There’s a special method to do your reference
그런 건 검색하시면 엄청 정리 잘 된 거 많이 나오니까 그것들 보고 하시면 되겠습니다.
You can find a good summary of it online. Please refer to that
자료도 진짜 참고용으로만 들어가야지, 너무 이 자료의 내용을 다 배끼다시피 넣으면
That resource you find should be your reference only. If you copy too much of it,
요즘엔 또 표절검사 다 하기 때문에, 내 생각을 최대한 많이 넣는 게 좋고요.
They all do plagiarism checks these days. It’s better to put your own opinion as much as possible
그러려면 그거에 대해서 고민을 많이 해봐야겠죠?
which means you will have to think about the topic a lot
어떤 주제가 있으면 그 주제에 대해서 내 생각을 정리를 한 번 해보는 과정이 필요할 것 같고요.
When there’s a topic, spend some time gathering your thoughts on that topic.
그래서 어느정도 나의 주장이 확립이 되면 그거에 관련된,
Once I had built up my argument
나의 주장을 뒷받침 해줄 수 있는 근거들을 찾는 데 시간을 많이 보냈고
I spent a lot of time looking for evidences to back that up
그리고 그런 논문 같은 거 읽으면서도
Also, while reading thesis
‘아, 이런 시점에서 볼 수도 있겠다’ 하는 것들 분명히 생기거든요.
You will sometimes realize how you can see it from a different view
그런 것들을 ‘이 논문의 필자는 이런식으로 자료들을 활용해서 이런 주장을 했고,
Use that to say ‘The writer of this thesis used such information to claim such idea’
난 이 부분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한다’. 결국에는 내 생각이 많이 들어가는 게 중요한 것 같아요.
‘and my thoughts on that subject ….blah blah’. In the end , it’s important to include your ideas a lot
그리고 사실 교수님들 과제 내주시는 것 보면, 그 내주신 의도가 어떤 건지
Sometimes you can tell the intention of the professors
딱 정해져 있는 것들이 사실 조금 있거든요.
when you look at the assessments you get
정해진 결론까진 아니더라도 이 과제를 내줌으로써
They are not setting up a conclusion for you but by giving you that assessment,
학생들이 어떤 거에 대해서 고민해봤으면 좋겠다든지,
they want you to think about a certain topic
아니면 이런 부분에 대해서 다양한 견해를 내놓을 수 있어야 한다든지
or they want you to be able to have various opinions on something
분명히 수업시간에 수업을 듣거나 하면
You should be able to tell what your professor wants from students
교수님이 이 과제를 통해서 학생한테 바라는 게 뭔지가 딱 보여요!
through that assessment if you followed them in their lectures!
그래서 그런 부분들을 잘 꼬집을 수 있는 내용을 넣는 게 중요하긴 하겠죠?
I guess it’s important to include something to tackle that part
그런 것들을 잘 해주면 좋은 점수를 받을 확률이 높아진다.
If you can do that well, there’s a higher chance to receive good marks
고등학교 까지 교육을 받고 대학교 온 사람들이
If you’ve completed high school and entered a university,
기본적으로 배우는 글쓰기의 맥락이나 순서같은 게 있잖아요.
You would’ve learnt the basic writing structures and orders
그런 것들을 그냥 잘 지키면 돼요. 사실 크게 다른 것도 없어요. 대학교 레포트라고 해서!
Just follow that well. University reports are not any different!
1교시 수업 추천하는지.
Do you recommend taking the first period lecture?
1교시면 보통 9시, 이럴 때 시작을 하잖아요.
The first lecture usually starts at 9…
근데 저는…
But I’m….
뭐 사람마다 다를 수는 있겠지만, 내가 진짜 제대로 된 대학교 라이프를 경험을 해보고 싶다하면
Well it could be different for everyone but if you want to experience a proper university life,
1교시도 괜찮을 것 같고요.
I think the first period would be alright
일단 오전 수업을 들으면 오전을 잠으로 날려버리는 일은 (아마..) 없겠죠?
If you take the first period, you won’t waste that time from sleeping (probably)
시간 관리를 내가 좀 빡빡하게 잘 하고 싶다 하시면 수업을 오전에 몰아넣고
If you want to tightly manage your time, attend all the lectures in the morning
오후 시간에는 과제 같은 거 하고 내가 하고 싶은 일 하고,
and work on assessments and other things you want to do in the afternoon
그렇게 전 시간을 보내는 걸 좀 더 선호했던 것 같아요.
I preferred spending my time like that more
사실 오전 수업 안 듣는다고 해서 그 오전 시간 알차게 쓰는 사람들 전 거의 못 봤고요. 사실..
Honestly… I rarely see people who don’t have morning lecture use that time productively
뭐 알바를 한다거나 이런 게 아닌 이상은 그냥 거의 다 잠으로 보내더라고요.
People use that time to sleep unless you have a part time job
그럴 바에는 그냥 오전 수업 듣고 그 오후 시간을 내가 잘 쓰는 게 낫지 않나..
Wouldn’t you rather take a morning lecture and use the afternoon time productively?
일단 오늘밤 해놓은 부분부터 먼저 올려놓겠습니다!
번역중 - 에바님 제가 주말에도 출근을 하느라구 ㅠㅠ 얼마나 빨리 끝낼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일단 지금부터 시작해서 최대한 해놓고 ... 오늘 밤에 못끝내면 내일 저녁까지 마감해서 드릴게요 ! 급하다고 하셨는데 죄송해여 ㅠㅠ
아주 나쁜 사람이에요ㅎ
대신 내줄 것도 아니면서. 그쵸?
휴학하고 할 만한 거 추천! 일단 전 휴학을 3년 가까이 했던 것 같고요.
전 일 했어요.일! 휴학 하면서 그냥 논 적은 없었고요. 무조건 일을 했고
유튜브를 쭉 했기 때문에. 제가 영상 만드는 일이 너무 바쁘고 학교랑 병행하기가 너무 버겁다,
체력적으로 벅차다 했을 때 한 학기씩 휴학하고 이렇게 차곡차곡 휴학했기 때문에
휴학 하시고 전 알바를 다양하게 해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고요.
대외활동 많이 경험해보는 거, 봉사활동 해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고
아니면 짧게 인턴쉽 같은 걸 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굳이 일하거나 공부하지 않아도 내가 가고 싶었던 여행지에 가 볼 수도 있는 거고요.
사실 사회에 나오고 취직하면 내 시간을 따로 빼서 여행을 간다는게 엄청나게 큰 챌린지가 되거든요.
그렇게 길게 쉴 수 있는 기간도 별로 없고요. 그것도 전 대학생만의 특권이라 생각해서..
뭐 휴학하고 가는 것도 한 번 정도는 괜찮고, 방학때도 여행 많이 다니시라고 그렇게 말씀을 드립니다.
공모전, 자격증, 시험 어떻게 하면 좋을지..
스펙에 대한 압박 같은 것도 입학하기 전부터 많이 느끼시는 것 같더라고요.
근데 그냥 내가 관심있는 분야, 아니면 내가 재밌다고 느끼는 분야는 무조건 다양하게 도전을 해보세요.
그게 다 나의 기록이 되는 거고 스펙이 되는 거고요. 경험이 되는 거기 때문에!
그리고 어떤 경험을 하든 항상 흔적을 남겨야 돼요.
수상 이력이 됐든 인증서가 됐든, 그런 것들을 꼭 문서화해서 기록을 남겨놓으시길 바랍니다.
이런 것들이 다 도움이 되거든요.
그리고 자격증이나 시험 같은 것들은 보통 3학년 때부터 준비를 많이 하고요.
왜냐하면 자격증도 종류따라 다르긴 하지만 유효기간이라는 게 있기 때문에,
보통 한 2-4년 이정도거든요. 보통 4학년 막학기 때 취준을 많이 하기 때문에
그 때 이상까지 좀 안전하게 만료가 되지 않으려면 보통은 3학년 끝나고,
4학년 때 부터 취준을 많이 하죠. 그래서 1-3학년 때 학교에서 들으라는 수업 착실하게 다 듣고
최대한 학점을 많이 들어서 먼저 학점을 잘 채워놓고요. 그래야 4학년 때 내 시간이 많아지고
학교에서 듣는 수업이 적어지면서 취준에 좀 더 집중을 할 수 있습니다.
과대나 학생회 추천하는지. 전 둘 다 안 해봐가지고
추천 한다, 안 한다 이렇게 말씀드리기 애매하긴 하지만
학생회 했던 친구한테 한 번 전화해서 물어볼까요?
어, 여보세요? 나 촬영하고 있는데 학생회 하는 거 추천하는지?
-아~ ㅅㅂ 아니?
왜 비추천 하시죠?
-하.. 사람마다 다른데, 그냥 학생회는 내가 봤을 때 1-2학년때 제일 열정적일 때,
-학교에 내가 뭔가 이바지 하고 싶을 때, 뭔가 나의 쓸모를 어떻게든 증명하고 싶을 때!
-혹은 사람들이랑 그냥 어울리고 싶을 때 그럴 때 하는 것 같은데..
-저..는 학생회를 하면서 크게 보람을 못 느끼고 내가 왜 이런것까지 해야되지?
-지금 뭐 하고 있지? 공부나 해야되는데? 이런 걸 많이 느꼈습니다..
오..네.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학생회 하고 싶으면 하세요! 나쁘지 않습니다.
-돌이키면 하는 것은 후회일 뿐.. 나쁘지 않습니다..
아, 네. 그렇다네요, 여러분! 선택은 여러분이 하시는걸로~
저도 사실 비추이긴 해요..
주변에서 과대한 친구들도 봤는데, 스트레스를 너무 많이 받고요. 일단!
그리고 애들이 답장 안 주고 연락 안 되고 이런 것도 과대가 다 책임지고 연락하는 경우도 많고
잘못 안 한 것도 과대가 뒤집어쓰고 대표로 혼나는 경우도 많고요.
이렇게 나서서 하는 거 좋아하시면 한번쯤은 해봐도 괜찮을 것 같긴 한데
또 과대 하면 장학금 같은 걸 주기도 하고 하거든요.
근데 저 개인적으로는.. 그런 걸 감수하면서까지 과댈르 하고 싶진 않다..
고등학교 생활보다 대학교가 더 빡센지?
음.. 어떻게 보면 그렇고, 또 어떻게 보면 아니에요!
고등학교 때는 정해진 시간이라는 게 있잖아요.
1-4교시 쭉 하루종일 커리큘럼이 정해져 있고, 밥 먹는 시간, 자는 시간 다 정해져 있기 때문에
그거에 맞춰서 생활하는 게, 그게 힘들 수도 있지만 또 짜여져 있기 때문에
내가 스스로 선택해서 해야되는 일들은 많이 없어서 그게 편하기도 하거든요.
대학교는 완전 반대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내가 내 시간 자유롭게 쓸 수 있고, 내가 원하는 강의를 듣고, 원하는 시간표를 짜지만
대신 시간 관리도 내가 알아서 스스로 해야되고 거기에 뒤따라오는 일들에
책임도 내가 져야되기 때문에, 내가 이렇게 내 시간을 자유롭게 관리하는 게 내 성향에 적합하다!
그렇다면 대학교 생활 너무 프리하고 너무 좋은데? 라고 느끼실 수도 있고
그게 아니면 더 힘들다고 느끼실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선후배, 동기 사이에서 조심해야 할 것.
당연히 말과 행동이죠!
여러분, 진짜 말 조심하셔야 되고요. 진짜 행동 조심하셔야 돼요.
이건 어디에 가나 똑같겠지만 절대 술 과하게 드시지 마세요.
대학교 1학년 막 들어가면 자기 주량도 모르기 때문에 술 엄청 애들 과하게 마시거든요.
근데 진짜 큰일나요!
운 좋으면 아무 일도 안 일어나고요. 운 나쁘면 진짜 어떤 일이 일어날지도 모르고요.
생각보다 대학교 내에서 이런 안 좋은 일들도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그리고 절대절대절대절대절대 남 욕 하지 마세요!
그런 거 다 돌고 돌아서 다 본인 귀에 들어가고, 당사자 귀에 들어가고
그게 싸움이 되고 나의 대학생활을 망칠 수도 있기 때문에 절대로 남 얘기 하지 마시고요.
그런 얘기를 하는 무리가 있다, 그런 사람이 있다 하면 동조도 하지 마세요, 여러분!
정말 사람을 조심하는 게 맞는 것 같아요.
들어가서 너무 쉽게 사랑에 빠지지 마시고요ㅎ
내 시간 내가 잘 챙겨야되고, 나를 챙겨주는 사람은 나밖에 없다고 진짜 생각하셔야 돼요.
대학생활동안 이것만은 꼭 해라 or 이것만은 절대 하지마라 하는 게 있다면?
이런 질문도 주셨는데, 음.. 제가 지금 딱 생각나는 건
전 대학교 생활 하면서 학교에서 정해둔 커리큘럼은 최대한 지키라고 말씀을 드리고 싶고요.
저처럼 대학을 오래 다니고 싶지 않다면ㅎ~
그리고 시간을 짬짬이 잘 활용하는 방법을 배우셔야 돼요.
그래야 내가 듣고싶은 교양 신청해서 들으실 수 있고요.
내가 하고싶은 대외활동이나 봉사활동도 하실 수 있고요.
전 그런 대외활동 많이 해보시는 것도 좋은 것 같아요.
대외활동 하다가 진짜 의도치 않게 내가 하고싶은 일을 찾을 수도 있는 거고요.
그게 지금 없다고 해서 너무 마음 조급하게 먹지 마세요.
졸업할 때까지 없는 사람도 많고요. 졸업 하고 취직해도 원하는 일을 못 찾는 사람들도 많고요.
그래서 전 일단 경험을 많이 해보는 게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 말라고 하는 건.. cc?ㅎ 이것도 친구한테 전화해서 한 번 물어볼까요?
받을지 모르겠..
엥? 왜 꺼져있지? 전화기 꺼져있네요~
하지 말라는 건 cc랑 과음! 술자리 너무 많이 가지 마세요..
대학교 술자리 도움되는 자리 하나도 없다고 생각하고요. 저는!
돈만 많이 쓰고 몸만 축나고, 내 시간만 버리게 되는 자리라고 생각합니다.
뭐 노는 거 좋아하시면 친구들끼리 가볍게 자리 가지고 하는 그런 건 괜찮은데
너무 많이 가지 마세요..
1학년이면 앞뒤 생각 안 하고 놀아라 vs 지금부터라도 꾸준히 알바해라
여러분, 1학년 때 놀 수 있을 만큼 다 놀아라고 하는 건 전 개인적으로
내가 챙겨야 할 건 챙겨가면서 놀아라는 말로 생각을 하거든요.
공부 해야되는 거, 학점 따야되는 거, 시험 봐야되는 거 이런 거 챙길 거 무조건 다 챙기셔야 되고요.
그렇게 했을 때 남는 시간에 노는거지, 1학년이라고 아무것도 안 하고 놀면 안 돼요. 여러분!
노는 건 휴학 하고도 놀 수 있고요. 1학년 때만 즐길 수 있는 것도 있긴 하겠지만
그 즐길 건 즐기되, 내가 해야되는 일들은 꼭 하고 노시라..! 아니면 나중에 남는 건 후회뿐이다.
1학년 때 알았으면 좋았을걸 하는 유용한 정보나 팁?
장학금 주는 기준이랑, 교환학생 같은 거 갈 수 있는 어학 성적,
학점 기준 같은 것들을 좀 명확하게 알고 있으면
내가 학점 관리를 하거나 관련된 것들을 준비하는 데 도움이 많이 되거든요.
그걸 아예 모르고 막연하게 하고싶다고 생각하는 거랑,
그런 기준들을 잘 알고 있는 거랑은 아주 차이가 크기 때문에
이런 정보들을 많이 알고 있는 게 중요하고요.
마찬가지로 이런 것들은 학교 홈페이지나 아니면 에타 아시죠?
‘에브리타임’이라는 어플에서 학교 인증하면 학교 게시판 같은 거 다 볼 수 있거든요.
그런 데에도 (정보가) 은근히 많기 때문에 그런 걸 잘 활용하시는 게 중요하다.
그리고 교수님한테도 많이 물어보세요!
이어지는 질문으로, 교수님이랑 친해지면
취업자리나 관련 정보를 많이 알려주시는지에 대한 질문도 있었는데 그렇습니다!
아무래도 교수님이랑 친하면 그런 정보도 많이 알려주시고,
실제로 인턴 같은 자리에 꽂아주시는 경우도 많고요.
공모전이나 대회 같은 거 나가보라고 제안을 해주시는 경우도 많고
내가 교수님이랑 안 친한 것 보단 전 친한 게 낫다고 생각합니다.
고등학교 때 까지 야자하다가 갑자기 비어버린 저녁시간은 뭘 하면서 지내는지?
너무 할 일이 많아서 시간이 부족한데요, 항상?
저같은 경우에는 일단 친구를 진짜 많이 만난 것 같아요.
친구들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졸업이 가까워질수록, 직장생활 하고 사회생활 할수록
더 만날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들어요, 여러분!
그래서 친구는 전 만날 수 있는 여건이 되는 한 많이 만나두는 게 좋다고 생각하고요.
그 와중에 내가 하고싶은 대외활동 같은 걸 찾아보는 시간도 필요하잖아요?
이 시간에 할 일은 엄청 많아요.
대학 가면 유정선배 없겠죠?
네.
방학때 뭘 하면 좋을지? 내가 뭐 하고 싶은지 고민 많이 해보시고요.
여러가지 활동들 그냥 닥치는대로 다 해보세요.
진짜 사람 일 어떻게 될지 모르거든요.
저 유튜브 시작한 것도 방학때 ‘뭐하지? 그냥 방학을 흘려보내기 싫은데?’ 이래서
대외활동 찾아보다가 ‘유튜브 크리에이터’라는 게 있는 걸 처음 알게 됐고,
그래서 유튜브 시작했거든요.
성과가 어떻든 실패할까봐 고민하거나 그렇게 하지 마시고요.
뭐 대학생인데 좀 실패하면 어떄요? 대외활동에서 실패해봤자 얼마나 큰 실패겠어요.
다 해보세요, 그냥! 다양하게 경험해보시고 많은 일들 겪어보시고요.
분명히 또 다른 길이 보이게 되거든요. 이건 진짜예요.
대학 다니면서 돈 모으고 싶은데 특별한 방법이 있을지?
대학교 다니면서 돈을 모으고 싶다면 경제 공부를 하세요.
전 경제가 어떻게 돌아가고 돈의 흐름이 어떻게 흘러가는지 이런 걸
대학생 때 아는 게 진짜 중요하다고 생각하거든요.
내가 지출은 얼마만큼 하고, 수입은 어느정도가 있고,
내 돈, 자금의 흐름은 어떻고 이런 것들을 미리 볼 줄 알아야 되고
그래야 내가 어느정도를 저축을 할 수 있고, 어느 정도의 씨드를 확보할 수 있는지가 나오거든요.
그걸 바탕으로 투자 공부 하시고요. 내가 직접 투자하지 않더라도
이런 지식을 갖고 있는 건 정말 중요하고 인생에 큰 도움이 되기 때문에
무조건 돈을 한 푼이라도 아껴서 내가 목돈을 만들어야지! 라는 생각 먼저 하시기 전에
이런 공부를 많이 하시는 것도 전 추천합니다.
대학생활에 도움 되는 앱이나 꿀템이 있다면?
일단 아까 말했던 ‘에브리타임’이라는 어플은 너무 필수고요.
그리고 전 시간관리 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Timeblocks’라는 일정관리 어플 추천합니다.
이건 내가 카테고리별로 나눠서 일정을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한 눈에 보기도 굉장히 편하고요.
이전에 어떤 일정 있었는지 전체적으로 검색도 쫙 가능해서 그것도 편하고요.
할 일 체크리스트도 이 안에서 다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전 몇 년 째 이 어플을 쓰면서
모든 시간관리, 일정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세 번째로 학교 홈페이지 즐겨찾기 꼭 하기!
옷 어떻게 입고 다니는지, 룩북 같은 거, 데일리룩 찍어달라고 하신 분들도 계셨는데
이건 제가 나중에 개강하면 보여드릴게요.
대학생이 맥북 사용하기 어떤지, 추천하는 노트북이 있는지도 많이 물어보셨는데
전 입학하고 한 2-3년 가까이는 삼성 제품을 썼고요.
그 다음부터는 쭉 맥북을 쓰고 있어요. 왜냐하면 전 편집을 해야되고
포토샵 작업도 하고 일러스트 작업도 하기 때문에
이런 디자인 쪽이나 영상 같은 일을 하시는 분이라면 전 맥북을 추천하고요.
그게 아니라 난 노트북을 그냥 레포트용으로, 과제용으로만 쓸거다 하시는 분들은
굳이 맥북이 필요할까 싶기는 해요.
맥북에서도 한글파일 다. 열 수 있고요. 다 가능하긴 한데..
특히 공동인증서라든지 이런 것들은 맥 OS에서는 지원이 안 되기 때문에
은행 업무까지도 한번에 다 보시기에는 전 LG나 삼성 제품이 더 낫지 않을까 생각은 합니다.
근데 또 맥북은 약간 간지잖아요ㅎ 전 맥북 쓰긴 해요!
그런 은행 업무같은 것들은 다 모바일로 보는 편이고요.
전 맥북 쓰면서도 학교 과제 같은 거나 강의 들을 때 크게 불편한 점은 못 느꼈어요.
아이패드랑 노트북 중 선택해야 한다면 뭘 더 추천하시나요?
전 무조건 노트북이요!
들고 다닐 때는 좀 무거울 순 있는데, 노트북이 확실히 여러가지 작업을 하기에
편하긴 하더라고요, 전. 개인적으로!
근데 본인이 손에 아이패드가 더 익어있고, 필기 같은 거 하면서 강의 들을 때 필요하다 하시면
전 아이패드를 사는 것도 나쁘진 않다고 생각하는데
전 제가 손으로 써야하는 필기가 있으면 그냥 노트를 쓰는 편이에요.
아이패드에 쓰는 건 저랑 좀 안 맞아가지고 전 노트북을 추천하긴 합니다.
휴학 몇 년 까지 할 수 있는지는 학교마다 다르긴 한데,
보통 남자같은 경우엔 군휴학이 있기 때문에 *2-3년정도 좀 더 휴학을 할 수 있는 걸로 알고있고요.
저희 학교는 일반 학생들은 3년까지 휴학을 할 수 있습니다.
3년이라고 하면 6학기가 되겠죠?
근데 이건 학교마다 달라서 2년까지만 휴학을 할 수 있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학교 홈페이지에서 잘 찾아보시길 바랄게요.
대학생활에서 제일 중요하게 생각하는 건?
내가 이 학교에서 얻어갈 수 있는 모든 것들을 다 뽑아먹으세요, 여러분!
수업은 당연하고요. 장학금도 내가 탈 수 있는 거 찾아보면 생각보다 많거든요?
그런 거 다 받아 먹으시고요. 친구들 관계에 너무 연연하지 마시되 주변에 있는 사람들 잘 챙겨주세요.
학교 안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너무 일희일비 하지 마시고요.
대학교는 어쨌든 내가 사회로 나가기 위한 발판이 되는 거라고 전 생각하기 때문에
내가 사회에 나가서 필요한 것들을 정말 만반의 준비를 마친다는 생각으로 대학 열심히 다니세요.
노는 것도 열심히 노시고요. 친구들도 열심히 만나시고 공부도 진짜 열심히 하시고요.
학점이랑 어학성적, 자격증도 할 수 있는대로 다 만들어 놓으시고요.
도움 안 되는 거 하나도 없거든요.
그리고 그렇게 노력해본 사람들은 사회에 나와서도 본인이 어떤 노력을 해야되는지 알고 있고
그 방향이 딱 정해져 있더라고요.
대학교에서 그런 것들 미리 연습하는 과정이라 생각하시고
즐거운 대학생활 하시길 바라겠습니다.
또 사람마다 너무너무 환경이 다르고 케이스가 다 다르기 때문에
제가 얘기한 게 정답이라고 말 할 순 없어요.
그냥 어느정도 참고만 하시고요. 또 직접 경험해보시면 다를 거예요, 아마!
제가 얘기했던 것들이랑.
아, 그냥 대충 이 사람은 이렇게 대학생활 했구나 정도로만 알아주시고요.
여러분, 즐거운 대학생활 하시길 바라겠습니다. 화이팅!
아니면 종교시설이나 공공기관, 단체 이런데서도 주는 장학금이 진짜 많기 때문에
그런 것들 생각보다 (조건이) 안 까다로운 장학금도 많거든요.
그런 거 잘 찾아보시면 장학금도 많이 타실 수 있을 것 같아요.
근데 항상 베이스가 되는 건, 성적은 어느정도 만들어둬야지 받을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지겠죠?
온라인 강의의 장단점!
장점은 그냥 다들 아시다시피 어디서든 들을 수 있다는 게 장점이고요.
단점은 아무래도 수업에 대한 집중도도 떨어지고요.
교수님들도 물론 이런 온라인으로 하는 강의가 익숙하지 않다보니까
진행이 원활하지 못한 부분이라든지, 의사소통이 잘 안 되는 부분들이 있을 것 같아요.
근데 대면강의든 온라인 강의든 장단점은 다 있기 때문에
크게 수업의 형태가 저의 학업에 영향을 미치진 않는 것 같아요.
가끔 가다가 이런 온라인 강의가 퀄리티가 진짜 떨어지는 경우도 조금 있긴 하거든요.
이전 수업자료 그대로 가지고 오시거나, 5-6년 전 자료로 수업하시고..
그런 교수님도 계시긴 한데 이건 온라인으로 하든 대면으로 하든
그런 분들은 그렇게 수업을 하시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아, 이건 너무 귀여운 질문이네. 처음에 강의실 어떻게 찾아갔는지,
강의실에 신발 신고 들어가도 되는지?
강의실은요. 수강신청 하면 수업개요 같은 게 쫙 적힌
수업계획서 온라인에서 다 볼 수 있게 되어있거든요.
거기에 보통 교수님 연구실 어딘지, 교수님 전화번호, 메일주소,
수업은 무슨 요일 몇 시에 어디서 하는지 다 적혀있거든요. 그런 거 보고 찾아가시면 되고요.
학교 지도 같은 것도 구글링 하면 너무 쉽게 찾아볼 수 있고, 학교 홈페이지에도 잘 안내가 되어있고
보통 학교 정문 딱 들어가면 정문에 커다랗게 게시판에 학교 도면 같은 게, 지도가 붙어있는 경우가 많아요.
그런 거 보고 그거 그냥 사진 한 번 찍어가지고 휴대폰에 넣고 다니면서
길 외우셔도 되고 초반엔 다 그렇게 하는 거랍니다! 신발 벗고 들어가는 거 아니고요.
그것도 있었어요. 화장실 갈 때 교수님한테 말하고 가야 되는지?
아뇨. 중간에 그냥 쓱 아무도 모르게 바람처럼 조용히 나갔다 갔다오시면 되고요.
근데 간혹 중간에 그렇게 나가는 거 싫어하는 교수님도 계셔서..
수업이 너무 길면 중간에 쉬는 시간 주시거든요. 그 때 갔다와도 되고,
뭐 미리미리 갔다오는 게 제일 좋긴 하겠죠?
그리고 지각하면 교수님한테 미리 문자해야 되는지도 물어보셨는데
문자 할 필요 없고요. 보통 10분까지는 지각으로 처리를 안 하시거든요.
지각하더라도 일단 들어가서 수업 들으시고 수업 끝나고 나서
교수님, 저 아까 들어왔는데 출석체크를 못 했던 것 같아서 확인 부탁드린다고 하면
그냥 체크 해주시는 경우도 있고요. 교수님 재량이니까 굳이 막
‘교수님, 저 15분정도 늦을 것 같습니다ㅠㅠ’ 이렇게 문자 안 해도 됩니다.
발표 안 떨면서 할 수 있는 방법!
다 감자라고 생각하세요. 그리고 잘 할 필요 없어요.
잘 하려고 하지마세요. 발표! 처음부터 잘 하는 사람 없고요. 다 고만고만하게 발표 하고요.
대학교 와서 무슨 사업계획서 PT하는 것 처럼 엄청나게 발표하는 사람 잘 없어요. 생각보다!
다 그냥 고만고만하니까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너무 잘해야지 라고 욕심부리면
또 오히려 긴장되고 떨려서 잘 못하는 경우도 많거든요.
그냥 이렇게 저랑 얘기하듯이, 여러분은 얘기 안 하시지만.. 아무튼 편하게 얘기하시면 됩니다!
교수님과 나의 1:1 면담이라고 생각하세요. 그냥! 그게 더 떨리려나..?
편하게 자연스럽게 하는 게 저는 제일 좋은 것 같더라고요.
전공 살리는 사람 많은지? 뭐 살리는 사람도 있고 안 살리는 사람도 있겠죠?
요즘에는 전공 안 살리는 사람이 훨씬 많은 것 같아요.
제 주변에만 해도 전공 안 살리는 사람들 진짜 많고요.
문과 학과 다니다가 갑자기 졸업하고 혼자 공부해서 개발자로 취직한 친구들도 있고요.
생각보다 그런 경우가 진짜 많으니까
‘전공을 무조건 살려야된다’ 라는 거에 크게 강박은 안 가지셨으면 좋겠어요.
내가 대학교에서 배운 건 뭐가 됐든간에 나중에 나한테 다 좋은 밑바탕이 되는 거기 때문에
전공이 좀 안 맞더라도 배울 때 열심히 배워두시면 분명히 좋게 쓰일 날이 올 겁니다.
혼자 다녀도 괜찮은지? 혼자 잘 다니는 꿀팁!
전 진짜 혼자 다니거든요. 졸업한 동기들도 많고, 전 혼자 다니는 거 아무렇지도 않았어요!
어차피 들어갈 땐 다 똑같이 들어가서 동기들이 중요하고, 같이 다니는 친구들이 중요하고
그럴 순 있지만 각자 휴학도 하고, 일도 중간중간 하고
해외에 어학연수나 교환학생을 갔다온다거나 인턴쉽에 참여한다거나
이런 식으로 하다보면 각자 다 찢어지게 되어있거든요.
무조건 들어갔던 동기들하고 똑같이 졸업할 수가 없고요.
그리고 다른 사람들한테 맞춰서 학교 다니지 마세요.
그냥 내가 원할 때 휴학하고, 원할 때 학교 다니고 내가 원하는 수업 듣고
그렇게 하시는 게 훨씬 좋습니다.
혼자 다니는 사람 진짜 많고요. 대학에. 혼자 다녀도 아무도 ‘어머, 쟤 뭐야..’
‘혼자 다니나봐.. 친구 없나봐.. 너무 불쌍해ㅠ’
‘어떻게 학식을 혼자 먹고 있지..?’ 이러는 사람 한 명도 없어요. 진짜! 아무도 신경 안 쓰거든요, 남.
전 오히려 혼자 다니는 게 편해가지고 일부러 혼자 다닙니다.
내 할 일만 잘 하면 되죠. 혼자 다니는 게 뭐 대수예요?
입학 전부터 친목하는 사람들도 있던데, 입학해서 동기들과 친해질 수 있을까요?
전 솔직히 입학도 하기 전에, 직접 만나기도 전에 단톡에서 막 시끌시끌하고
말 많이 하고 친해지는 거 그렇게 선호하는 편은 아니거든요.
물론 그렇게 해서 대학교 내내 엄청 친하게 잘 붙어다니는 친구들도 있고요.
근데 전 그런 편은 아니었어서.. 그래도 대학교 들어가서 만나면 다 어느정도 친해지게 되어있고
그 중에서도 진짜 친한 친구를 만들수도 있는 거고요.
시작하기도 전에 남들은 다 친한 것 같고 그렇다고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특히 단톡이나 온라인에서는 친해보여도 실제론 안 그런 경우도 많고요.
온라인상으론 엄청 친하고, 좋은 애인 것 같았는데 실제로 만났을 때 좀 멀어지는 경우도 종종 있고요.
너무 이런 친목에 연연하지 마세요. 여러분!
현역이랑 나이 차이 나는 게 고민인데 동기중에 n수생 있으면 불편해하는지?
음.. 저도 입학했을 때 언니들도 있었고요. 나이 많은 사람들도 있긴 했는데
전 그렇게 신경쓰이지 않았어요. 어차피 동기고 몇 학번 차이나는 선배 이런 것도 아닌데
전 크게 신경 안 썼던 것 같아요. 다른 친구들도 그냥 엄청 다들 편하게 서로서로 대하고..
뭐 n수생, 재수생, 편입생이라고 해서 ‘뭐야.. 나이 겁나 많아’ 이렇게 하진 않으니까 걱정 안 하셔도 됩니다.
그리고 실제로 재수생, n수생 대학교에 얼마나 많은데요.
친구 사귀는 방법에 대해서 걱정하시는 분들이 진짜 많더라고요.
근데 말씀드렸다시피 친해질 사람들은 다 친해지게 되어있고요.
입학 하고 나서 다 서로 낯설고 서먹하기 때문에 그냥 먼저 말 걸고 먼저 다가가고
이렇게 하셔도 아무 문제 없고, 오히려 그렇게 서로 먼저 다가가주면 되게 좋아할 거예요.
전 먼저 다가가는 편은 아니었는데, 그렇게 또 다가와준 친구들 있었고요.
대학 친구는 찐친이 될 수 없다 이런 말 진짜냐고 물어보셨는데 이것도 사람마다 너무 다르죠!
전 연락하는 대학교 친구 3-4명, 이 중에서도 주기적으로 만나는 친구 딱 1-2명 정도밖에 없어요.
대학교 가서 친구 사귀는 게 나의 대학 라이프에 엄청난 영향을 끼치는 건 아니고요.
선배들이랑 밥약 많이 하는지, 밥약 해도 되는지!
일단 저는 밥 얻어먹은 적이…
기억이 안 나는 거 보면 많지 않았던 것 같고요. (1-2번 정도..?)
그리고 제가 선배들한테 사랑받는 후배는 아니었던 것 같아요.
전 실습이 많은 과이다보니, 선배들 촬영할 때 촬영장 가서 스탭으로 돕기도 하고
이렇게 하면서 원래 선배들이랑 친해지거든요. 저희 과는!
전 입학했을 때 영화에 큰 관심도 없었고, 촬영장 가는 거 별로 좋아하지도 않았고
내가 이쪽 전공을 살릴거란 생각도 딱히 없었고..
그래서 처음에 선배들이 와서 도와줄래? 올래? 라고 했을 때 거절을 계속 했거든요.
좀 싫었을 거예요, 제가! 너무 거절을 많이 해가지고..
몇 번 거절하니까 안 부르시더라고요.
근데 내가 선배들이랑 좀 친해지고 싶고 그러면 그냥 같이 만나서 밥도 먹고 하는 거 완전 상관없죠!
저도 같은 과 후배가 밥 사달라 하면 사줄 것 같은데요?
아, 왜 나한테 밥 사달라 하는거야.. 이렇게 하는 사람 잘 없지 않을까요?
물론 과 특성따라 다르긴 하겠지만, 선배들이랑 친해지면 정보 같은 것도
선배들이 더 먼저 알게 된 부분들이 있으니까 그런 면에서도 좋은 것 같고..
근데 또 너무 그런 거에 목 맬 필요는 없을 것 같아요.
대학 가면 남자친구 생기는지?
어.. 뭐 생기는 사람도 있고 안 생기는 사람도 있고?
이렇게 질문 해주시는 게 다 너무 사람마다 달라서..
cc 괜찮은지도 많이 물어보셨는데, 전 개인적으로 cc는 추천하지 않습니다.
특히 입학하고 나서 3월달에 cc가 되는 건 진짜 최악이거든요.
둘이 잘 사귀면 괜찮은 거 아냐? 하다가도 일단 3월달에 입학 하자마자 cc가 되면요.
다른 친구들을 사귈 기회가 상대적으로 떨어지고요. 특히 선배랑 cc가 됐을 때 굉장히 힘들 수가 있습니다.
전 cc는 완전 비추.. 노.
같은 과는 아닌데 같은 대학 안의 타 단과대다. 그런 경우도 안 되나요?
그거야 여러분 마음이죠! 근데 어떻게 사귀든간에 전 3월달에 바로 cc 하지마라..
처음 봤는데 서로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좋은 모습만 서로에게 보여주고 싶지 않겠어요?
물론 전 cc 한 적 없고요. 그건 너무너무 잘 한 선택이라고 생각하고 있어요.
대학엔 정말 똑똑하고 수준 높은 사람들이 많은지?
근데 대학 뿐만 아니라 이건 어딜 가서도 그런 사람은 그렇고 안 그런 사람은 안 그런 거 아닐까요?
여러분이 대학 가셔서 정말 똑똑하고 수준 높은 사람이 되세요!
과팅 많이 들어오는지?
저 1학년때도 좀 있었던 것 같아요. 다른 대학교 애들이랑 연결해서 단체 미팅 같은 거 하고
그런 거 있었는데 전 그런 자리는 한 번도 안 나갔고요.
왜냐하면, 보통 같이 술 마시고 노는 그런 분위기라서..
전 그런 거 별로 안 좋아해서 참석을 다 안 했거든요.
근데 한번쯤 나가보는 것도 전 나쁘진 않을 것 같아요.
과팅 뭐 매번 들어오는 것도 아니고, 이건 1학년의 특권이라 생각하기 때문에..
보통 1학년 때 이런 거 많이 하거든요. 저학년 때.
한번쯤 경험해보는 것도 그것 나름대로의 추억이 되지 않을까, 적당한 선에서!
대학교 가서도 무리짓는 사람들이 있는지.
어딜 가나 무리 짓는 사람들은 있죠. 그걸 크게 신경 쓸 필요는 없을 것 같아요.
학생회비 꼭 내야하는지? 학생회비는 등록금에 포함되는 내역이 아니고요.
별도로 내가 엠티 가거나 모임 같은 거 하거나, 과에서 하는 행사 이런 것들 주최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을
학생회비에서 쓰는거거든요. 반드시 내야되는 건 아녜요!
내가 근데 과에서 이런 엠티나 이런 거 다 갈 거고 과생활 다 누릴거다 하시면 내는 게 맞겠지만.
나 그런 거 참여하지도 않는데 누가 학생회비 안 낸다고 뭐라하거나 강요한다면..